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북일보 신춘문예 작가들이 추천하는 이 책] 문신 시인 - 문정 시집 '하모니카 부는 오빠'

소리 내어 읽고 싶은 소란한 시들

우리의 눈높이가 초록으로 우거지는 계절이면 떠오르는 시 구절이 있다. “아직도 모든 산맥에서는 강물냄새가 난다”라는 문장은 시 ‘물고기자리’에 놓여 있고, 그 시는 문정 시인이 썼다. 시가 실려 있는 시집 <하모니카 부는 오빠> 는 여기 있지만, 시인은 여기 없다.

내가 알기로 그는 시로 태어났어야 옳았다. 결과적으로 시인이 되었으니 다행이다 싶지만, 시집 한 권으로 그를 대신하는 일은 크게 아쉽다. 그런 까닭에 헙수룩한 기분이 들 때면 나는 그의 유고 시집을 펼쳐들고는 소리 내어 읽는다. 꼭 소리 내어 읽는다. 그러면 그의 시가 마침내 눈을 뜬다.

문정 시인은 2008년 문화일보 신춘문예에 시가 당선되어 시인이 되었다. 그리고 2013년 가을, 자신이 쓴 시의 한 구절처럼 그는 “모천으로 헤엄쳐 가던, 수많은 연어나 송어”처럼 “신화도 말라버린 달력 속에 갇혀”버렸다. 나는 특별히 그의 등단작 ‘하모니카 부는 오빠’를 좋아한다. “하모니카 소리가 새어나오는/그 구멍들 속으로 시집가고 싶은 별들”을 찾아 밤하늘을 수없이 올려다본 적도 있다. 그러나 이 따뜻하고 유쾌한 시는 기어코 가슴에 강물을 들여놓고 만다. 그런 날이면 강심까지 숨을 견디며 자맥질해간다. 그의 시는 충분히 그래도 될 만큼 서늘하고 맑기 때문이다.

또 ‘신발’이라는 시를 좋아한다. “두 무릎 꿇고/내 이승과 하늘 별장도 모두 다 내맡기고 싶은 신들이,/현관에 버려져 내일을 기다리고 있다”는 마지막 연을 읽고 나서는 나도 모르게 깊은 숨을 몰아쉰다. 찬탄하기 위해서다. 나는 기다리기 위해서는 무릎을 꿇어야 한다는 사실을 이 시에서 배웠다. 우리에게 ‘내일’이 있다는 것, 그리고 그 모든 것들을 의탁할 수 있는 ‘신발’의 쓸모에도 새롭게 눈을 떴다. 한 편의 시에서 두 가지, 세 가지를 깨우쳤으니 나는 그의 시에게 인생의 한 나절쯤을 빚진 셈이다.

이제 드는 생각이지만, 그는 제법 소란한 사람이기도 했다. 말수가 적은 대신 그의 눈빛은 늘 어딘가를 바쁘게 헤집어댔다. 구름과 꽃과 나무와 언덕과 국밥과 택시와 골목들이 그를 숱하게도 소란하게 했다. 그 소란을 끌어안고 그는 시를 썼다. 밤벌레가 “내 속에 들어와 알을 슬어놓”(‘밤벌레’)은 이야기도 “노을 한 냄비를/보글보글 끓여 내놓고 있”(‘가을햇볕’)는 가을 햇볕 이야기도 그렇게 썼다.

그렇지만 그의 시를 읽고 난 속내가 소란한 것을 두고 그를 탓할 생각은 없다. 이 무렵이면 일없이 소란할 뿐, 그래서 그의 시집을 펼칠 뿐, 그리고 소리 내어 읽어가는 것 뿐, 그저 그냥 그럴 뿐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전북현대[CHAMP10N DAY] 전북현대 ‘우승의 나침반’ 거스 포옛과 박진섭이 말하다

전주‘전주 실외 인라인롤러경기장’ 시설 개선…60억 투입

영화·연극제27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영화 출품 공모 시작

김제김제시 종자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 ‘파란불’

금융·증권미 증시 덮친 'AI 거품' 공포…한국·일본 증시에도 옮겨붙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