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마이스산업 코로나19 여파 행사 유치 감소
코로나19 쉽게 해결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마이스산업의 새로운 방안 모색 목소리
일부 지자체의 경우 이미 비대면 관련 마이스산업 유치 또는 지원 등 들어가
반면 전북의 경우 마이스산업 지원 사업 대부분이 대면을 전제로 하는 인센티브 제공 등의 내용인 만큼 비대면에 맞는 내용 모색 필요
해외 바이어들을 맞을 수 있는 제대로 된 컨벤션 하나없는 전북 마이스산업이 코로나19 악재까지 겹쳐 추진동력을 상실하고 있다. 특히 비대면 시대를 맞는 마이스 정책이 이뤄져야 하지만 준비가 안 된 실정으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새로운 전환정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4일 전북도에 따르면 전북 내 국제회의 시설을 갖춘 곳은 새만금컨벤션센터가 유일하다. 이곳에서 열린 마이스 관련 행사는 지난 2018년 169회, 2019년 181회였다. 그러나 코로나19가 덮친 2020년 행사는 84회에 그치는 등 전년대비 50% 이상의 감소세를 보였다. 코로나19 여파로 다수의 인파가 모이는 행사가 원천적으로 봉쇄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올해 역시 코로나19 백신 접종 계획이 구체화 돼 연말 안정을 찾을 것이란 전망도 나오지만 또 다른 바이러스 변이 등의 변수가 상존하고 있어 비대면 대책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전북도의 마이스 산업 정책은 비대면 인프라 구축보다는 대면 행사 유치 또는 대면을 전제로 한 인세티브 지원에 치중된 실정이다.
전북도는 올해 마이스 산업 정책 추지관 관련한 예산 35억 원을 책정했다. 예산 편성을 보면 관광식당 시설개선 16억, 고창 국민여가캠핑장 조성 8억, 새만금 캠핑 관광 활성화 위한 1억 7000만원, 마이스 전문인력 양성 6000만원 등으로 대부분 대면과 관련된 사업 지원에 국한돼 있다.
신재생에너지 등 관련 전시회 개최 시 방역 및 비대면 시스템 활용 지원을 하지만 그 규모는 3000만원에 불과한 실정으로 마이스 산업의 후발주자인 전북이 더욱 뒤처질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반면 인천과 경기, 경남, 제주 등 타지역의 경우 포스트코로나에 대비해 마이스 산업과 관련된 전용 온라인 플랫폼 개발과 디지털 마이스 시스템 구축 등 다양한 비대면 마이스 사업을 추진 및 발굴하고 있다.
마이스 산업은 세계적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블루오션 사업으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비대면시대의 전북만이 가진 특화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전북도 관계자는 “군산새만금컨벤션센터에서 현재 이동형 카메라, 화상어플인 ZOOM 등을 활용해 비대면에 행사를 준비 중에 있다”며 “위드코로나 시대에 발맞춰 비대면 마이스산업을 준비해야 한다는 인식은 하고 있으며 향후 신규 사업 발굴 시 이러한 방안을 고민하고 전진적으로 준비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한편 마이스(MICE) 산업이란 기업 회의(Meeting), 포상관광(Incentives), 컨벤션(Convention), 전시회(Exhibition)의 머리글자를 딴 용어로 전시·박람회와 관련된 산업들을 말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