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소비자물가지수 107.37…작년동월대비 2.7% 상승
지난달 전북지역 소비자물가가 1년 전과 비교해 2.7% 오르면서 2년 6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농축수산물과 기름값이 크게 올랐고, 코로나19로 위축됐던 소비가 살아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4일 호남지방통계청 전주사무소가 발표한 ‘2021년 4월 전북지역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7.37(2015년=100)을 기록해 지난달보다 0.2%,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2.7% 올랐다. 이는 지난 2018년 10월(2.5%)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전북지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국(2.3%)보다 높았고, 지역별로는 제주(3.3%)에 이어 대전, 전남과 함께 최상위권을 차지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7월(0.2%)에 이어 올해 1월(0.7%)까지 줄곧 0%대를 이어왔다. 하지만 올해 2월부터 두 달 연속 1%대 상승률에 이어 4월에는 2%대로 진입하게 됐다.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1개 품목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는 108.21로 작년동월대비 3.3% 상승했다. 기상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50개 품목으로 작성한 지수인 신선식품지수는 136.12로 작년동월대비 12.7%나 올랐다. 지난해 긴 장마와 잦은 태풍으로 작황이 좋지 않아 신선채소류와 신선과실류의 경우 각각 15.1%, 21.1% 올라 서민들의 지갑을 더욱 얇게 만들고 있다.
특히 파(231.1%), 마늘(48.6%), 사과(46.4%), 고구마(19.2%) 등이 크게 오르면서 장바구니 물가와 직결되는 농축수산물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3.1% 상승했다. 반면 양배추(-38.6%), 게(-12.4%), 갈치(-9.1%) 등은 하락했다.
국제유가 상승 여파로 공업제품 물가는 3.1% 올랐다. 휘발유 15.6%, 경유 17.4%, 자동차용 LPG 12.6%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는 지난해보다 1.2% 상승했으며 공공서비스는 1.1% 하락한 반면, 개인서비스는 2.4% 올랐다. 공공서비스 중 하수도료(8.4%), 외래진료비(1.8%) 등이 올랐고, 고등학교 납입금(-100.0%), 휴대전화료(-1.1%) 등은 감소했다.
호남지방통게청 전주사무소 관계자는 “전국에 비해 전북지역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높다”며 “지난해 수해와 겨울 한파, 국제유가 상승 등이 반영된 상태로 인플레이션 우려도 있지만 물가 상승이 지속될 것인지는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다”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