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북일보 신춘문예 작가들이 추천하는 이 책] 최아현 소설가 - 임대형 ‘윤희에게 시나리오’

손끝에 꽁꽁 얼어 얼음이 들어앉은 듯하고, 어느 산꼭대기에 첫눈이 쌓였다는 소식이 들리면 어김없이 떠오르는 영화가 있다. 2019년 11월에 개봉한 영화 ‘윤희에게’다. 겨울이 돌아왔으니 별수 없이 영화 ‘윤희에게’의 시나리오를 꺼내 읽었다.

이야기는 이렇다. 일본의 노년 여성 마사코가 조카 쥰의 책상에 있던 편지를 둘러보다 우체통에 넣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 편지는 바다를 건너 한국으로 날아간다. 한편 한국의 중년 여성 윤희는 딸 새봄과 함께 살고 있다. 남편과는 이혼했고 한 회사의 구내식당에서 일하고 있지만, 삶이 퍽 활기찬 것은 아니다. 어느 날 해외에서 편지가 도착하고 그 편지는 윤희보다 새봄의 손에 먼저 닿는다. 편지를 먼저 읽은 새봄이 윤희에게 일본의 오타루로 여행을 제안한다. 윤희도 도착한 편지를 발견했고, 새봄과 함께 일본으로 떠난다. 오타루의 마지막 날 밤, 마침내 윤희는 오랫동안 잊지 못했던 옛 연인 쥰을 만나게 된다.

겨울이면 이 이야기를 떠올리는 이유는 두 가지다. 먼저 시나리오 속 배경인 오타루는 겨우내 눈이 오기로 유명한 지역이다. 영화에서도 마찬가지다. 쌓인 눈, 내리는 눈, 쌓였다가 녹는 눈. “눈이 언제쯤 그치려나.”(『윤희에게 시나리오』, 中) 시나리오에서 입버릇처럼 반복되는 마사코의 대사가 무색할 정도로 말이다. 눈으로 가득한 오타루가 배경인 이야기니, 겨울이면 자연스레 떠오를 수밖에 없다.

두 번째는 눈의 고요한 따듯함이 인물들에게 녹아있기 때문이다. 모두가 서로를 향해 애틋하고 조용한 마음을 전한 것이 모여 결말이 됐다. 때때로 윤희의 꿈을 꿀 때면 부치지 않는 편지를 쓰는 쥰. 발송되지 못한 편지를 우체통에 넣은 마사코. 편지를 먼저 읽고 일본 여행을 계획한 새봄. 그런 새봄을 따라 무턱대고 일본으로 따라간 경수. “나에게 그런 용기가 있을까? (중략) 언젠가 내 딸에게 네 이야기를 할 수 있을까? 용기를 내고 싶어. 용기를 낼 수 있을 거야.”(『윤희에게 시나리오』, 中)라며 용기를 낸 윤희까지. 찬 바람이 부는 날이면 모두의 용기와 온기를 내 곁에 두고 싶어 자꾸만 꺼내 읽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실은 이 시나리오를 모든 계절에 꺼내두고 읽었다. 봄에는 겨울이 간 것이 아쉬워 읽고, 가을에는 곧 올 찬바람을 맞이하며 읽었다. 여름에는 너무 덥다고 읽었고 겨울에는 알맞은 계절이 돌아왔다며 읽었다. “잘 지내니? 오랫동안 이렇게 묻고 싶었어. (중략) 갑자기 너한테 내 소식을 전하고 싶었나봐. 살다 보면 그럴 때가 있지 않니? 뭐든 더 이상 참을 수 없어질 때가.”(『윤희에게 시나리오』, 中) 어쩌면 부치지 못하는 편지와 내지 못하는 용기를 영화로 대신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최아현 소설가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