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교육청, 학교폭력 실태 전수조사 결과 발표
초4∼고3 2.8%"학폭 피해"…언어폭력 47.9% 최다
전북지역 학교폭력(학폭) 피해자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교육청이 15일 밝힌 ‘2023년 학교폭력 실태 전수조사’ 결과에 따르면 설문에 참여한 도내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총 7만 2199명 중 2010명(2.8%)이 학폭 피해를 당했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해 1288명(1.9%)보다 722명이 더 늘어난 수치로 0.9%p 소폭 증가했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의 피해응답률(5.0%)이 가장 높았고, 중학교(2.9%), 고등학교(1.1%) 순으로 나타났다.
또 '학폭가해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 비율은 1.2%로, 전년보다 0.2%p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2.7%), 중학교(1.1%), 고등학교(0.3%) 순이었다.
가해 이유로는 장난으로 이유 없이(41.2%)가 가장 높았고, 나를 괴롭혀서(24.7%), 오해와 갈등(10.3%) 등이었다.
유형별로는 언어폭력(47.9%)이 47.9%로 가장 높았다. 집단따돌림(14.6%), 신체폭행(14.3%)이 뒤를 이었다. 전년대비 언어폭력은 0.8%p, 스토킹은 2.3%p 감소했으며, 신체폭행과 강요, 금품갈취는 각각 2.8%p, 0.9%p, 0.7%p 증가했다.
피해가 발생하는 시간은 쉬는 시간(40.1%), 하교 이후 시간(16.8%), 점심시간(12.0%) 순이었으며, 피해 장소는 교실(42.5%), 복도·계단(13.8%), 사이버공간(10.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폭력을 당한 학생의 74.7%는 교사나 가족, 친구 등 가까운 지인에게 피해 사실을 알린 것으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는 교사(30.7%), 가족이나 친척(28.7%), 친구나 선후배(15.3%) 순이었다. 경찰과 상담기관에 알리는 경우는 2.7%에 불과했다.
또 목격을 했다는 답한 학생은 8.0%로 집계됐다. 학교폭력 목격 시 적극적으로 도와주었다(57.5%)는 응답이 아무것도 하지 못했다(41.4%)는 응답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교육청은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문화의 근본적 변화를 유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맞춤형 예방교육과 역할극 실시, 학교폭력 조기 감지 및 대응체계 강화, 인성·체육·예술 교육 강화 등에 적극 나설 예정이다.
또 피해학생에 대한 빈틈없는 보호를 위해 △사안발생 초기 보호 체계 강화 △피해학생 전문지원기관 확대 △촘촘한 피해학생 지원 체계를 구축·운영하는 한편, 관련 외부기관 제도를 적극 활용하고 기관 간 협력 체계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2024년 3월 신설·운영되는 학교폭력예방·지원센터와 학교폭력 조사관 제도 도입 등을 통해 사안 처리의 공정성과 신속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정성환 민주시민교육과장은 “이번 실태 전수조사 시점이 정치·사회적 이슈 및 언론보도 등으로 학교폭력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매우 높았던 때라 전년도보다 피해응답률이 다소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며 “학교는 사회구성원이 될 우리 아이들에게 안전한 공간이어야 하는 만큼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평화롭고 안전한 학교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전수조사는 도내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총 14만4077명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7만 2199명(50.1%)이 참여했다. 지난 4월10일부터 5월19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 시스템 유레카를 통해 진행됐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