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외부기고

[전북일보 신춘문예 작가들이 추천하는 이 책] 김근혜 작가-4·19의 아이들 '초록이 끓는 점'

image
초록이 끓는 점 표지/사진=교보문고 제공

초등학교 고학년 때 우리 집은 시청 옆이었다. 그곳에서는 시위가 끊이지 않았다. 시위가 격렬한 날에는 나가서 놀지 못해 발을 동동 굴렀다. 그런 날이면 애먼 엄마에게 몽니를 부리기도 했다. 그날의 분위기를 떠올리게 하는 현북스 역사동화 공모전 제1회 심사위원 추천작 <초록이 끓는 점>은 4.19혁명을 소재로 한 동화집이다. 

 첫 번째 작품 이정호 작가의 ‘빛나는 검정 구두’는 박주열과 구두닦이 김성원 열사의 죽음을 다뤘다. 어린아이를 협박해 부정한 일을 저지르는 친일 경찰과 정치인의 추악함을 민주주의를 위해 온몸을 내던진 박주열, 김성원과 대비시켜서 주제를 선명하게 드러냈다.

 <책 깎는 소년>으로 유명한 장은영 작가의 ‘수만이의 그림 공책’은 화가가 꿈인 수만이가 주인공이다. 깡패를 동원해 시위대를 무력으로 진압하는 아버지를 통해 수만이는 권력의 무자비와 비열, 공포를 마주한다. 

 “감추고 있던 불만을 약하고 힘없는 아내와 자식에게 쏟아 내는 거지. 술에 취한 것처럼 권력에 취해 힘으로 국민 입을 막는 이승만처럼.”

 고려대생의 말처럼 권력은 더 큰 권력을 소망한다. 그 소망에는 자비도 양심도 없다. 권력은 우리가 가장 경계해야 할 독약 바른 사탕이다. 

 성현정 작가의 ‘4월의 가짜 뉴스’는 4·19혁명 때 시위에 참여했다가 맥없이 시들어버린 어린 시위대의 죽음을 다뤘다. 실제로 4·19혁명 때 사망한 시민은 189명. 이중 초등학생(당시는 국민학생)이 8명이다. 

 “우리나라의 주인은 우리 국민이잖아. 대통령이 아무런 증거도 없이 국민을 공산당으로 몰아 총을 쏘고 죽이기까지 하는 건 분명 잘못된 게 맞는 것 같아.”

 어린 민승이도 아는 이 명백한 사실을 하물며 대통령이 모를까. 그러나 어떻게든 권력을 놓고 싶지 않았던 대통령은 가짜 뉴스로 국민을 호도하고 분열시키기에 이른다. 또 다른 한국전쟁을 연상케 하는 안타까운 현실은 푸르러야 할 어린이의 삶을 핏빛으로 물들였다. 

 박윤우 작가의 ‘거짓말하는 대통령’은 4.19 시위에 참여해 혈서를 쓴 여고생 이재영의 일기를 모티브 삼았다. 주인공 유나는 친구들과 이승만 찬가에 맞춰 고무줄놀이를 한다. 언니인 유영이 이승만은 거짓말을 밥 먹듯이 하는 대통령이니 다시는 부르지 말 것을 당부한다. 대통령의 진실을 알게 된 유나는 개사한 가사에 맞춰 신나게 고무줄놀이를 한다.

 며칠 전, 한 설문조사에서 어린이와 청소년이 인플루언서를 대통령과 정치인보다 신뢰한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국민과 점점 멀어지는 정치. 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인지 따져 묻기 전에 잘못된 정치를 바꾸는 건 대통령과 정치인이 아니라 국민이라는 것을 <초록이 끓는 점>을 통해 다시 한 번 깨닫는 건 어떨까. 그것이 작은 혁명이다.

김근혜 작가는 

2012년 전북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으며  동화 <다짜고짜 맹탐정>과 <봉주르 요리 교실 실종 사건>, <유령이 된 소년>, <나는 나야!>, <제롬랜드의 비밀> 등을 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올해 100대 기업 여성임원 476명 역대 최다…전체 임원 중 6.5%

정치일반'검은 수요일' 코스피 6%↓…급등 부담 속 'AI 버블론'이 직격

군산“군산에 오면, 미래 체육을 만난다”

전주전주시의회, 18~26일 행감…시민 제보 접수

정읍정읍 바이오매스발전소 건립 공사중지 가처분 신청 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