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재곤 종로광장새마을금고 이사장, 중앙회장 선거 출사표 전주 찾은 장 이사장 “지역금고 붕괴 막는 일이 최우선 과제”
새마을금고 중앙회장 선거에 출마한 장재곤 종로광장새마을금고 이사장이 지난 16일 전주를 찾아 표심을 다졌다. 그는 “제가 나서는 이유는 단 하나, 새마을금고가 다시 살아나야 하기 때문”이라고 강조하며 서민 금융의 회복을 핵심 가치로 내세웠다. 1987년 입사 이후 40년 가까이 현장에서 일한 그는 스스로를 “금고의 흙 같은 존재”라고 소개했다. 최근 새마을금고를 뒤흔든 PF(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 사태를 누구보다 뼈아프게 받아들인다는 말도 여러 차례 반복했다.
장 이사장은 “금고 상층부가 무리하게 기업대출과 PF에 손을 대며 체질이 흔들렸다”며 “잃어버린 신뢰를 되찾는 게 첫 번째 과제”라고 말했다. 지난해 PF 부실 이후 연체율이 6.78%까지 치솟고, 일시적 예금 인출 불안이 이어지는 상황을 “오랜 역사에서 가장 위험한 순간”이라 표현했다. 단위금고가 부실채권 매각 손실을 떠안는 구조, MG AMCO 위탁 수수료 문제 등도 “중앙회가 금고를 돕기보다 군림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그의 해법은 ‘뿌리로의 회귀’였다. 장 이사장은 “새마을금고는 지역민과 함께 숨 쉬는 금융이었다”며, 농촌 금고의 유지·보강을 최우선 정책으로 제시했다. “쇠퇴한 농촌 금고를 포기하는 순간 전체 생태계가 무너진다. 지역 기반을 지키는 일이 새마을금고 전체를 지키는 일”이라는 설명이다.
수익성 개선 방안으로는 고위험 PF 대신 예금 조달금리 안정화가 해법이라고 주장했다. “은행만큼만 예금금리를 유지해도 경쟁력은 충분하다. 굳이 위험한 고수익 모델을 유지할 이유가 없다”며 “조달금리가 안정되면 대출금리도 낮출 수 있어 서민금융 기능에 더 충실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전주에서 열린 간담회에서도 그는 “단 하나의 금고도 쓰러지게 두지 않겠다”는 메시지를 부각했다. 은행권에서도 지점을 줄이고 있는 상황에서 금고가 통폐합되는 상황을 막아 지역경제에도 도움이 될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복안이다.
리더십 비전으로는 ‘동행 경영’을 내세웠다. 그는 “연꽃의 뿌리가 흙 속에 있듯 회장은 가장 낮은 자리에서 금고를 받쳐야 한다”며 “밑바닥 보도블록이 되겠다고 한 이유도 그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한 소상공인 금융정책의 ‘통합 창구’ 역할을 새마을금고가 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 정책이 흩어져 있어 현장에서 체감이 떨어진다. 새마을금고가 연결고리를 맡는다면 실제 도움이 된다”며 시장 상인들과의 오랜 경험을 근거로 들었다.
자신의 강점을 묻자 그는 IMF 외환위기 당시를 떠올렸다. “대우그룹 사태가 폭발하던 시절 매일 현장을 뛰며 배운 건, 답은 늘 현장에 있다는 사실”이라며 “40년 동안 금고 안팎의 위기와 변화를 모두 경험한 것이 다른 후보와의 차이”라고 말했다.
인터뷰 말미 그는 조용히 말을 맺었다. “새마을금고는 대한민국 풀뿌리 경제의 뿌리입니다. 이 뿌리를 다시 일으켜 세워야 우리의 내일도 다시 보입니다.”
오는 12월 17일 치러질 새마을금고중앙회장 선거에서 그의 구호는 ‘정책 경쟁’이 아니라 ‘뿌리 회복’에 가깝다. “지금이 마지막 기회일 수 있습니다. 저는 그 사명을 위해 모든 것을 바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이종호 기자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