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5일부터 읍·면 설명회 주민 의견 수렴 / '지·간선제' 반대 많으면 독자 추진에 무게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를 추진해 온 전주시와 완주군이 ‘지·간선제’ 도입을 놓고 입장이 엇갈려 애초 계획에 차질을 빚고 있는 가운데 완주군이 정책 결정을 위한 주민 의견수렴에 나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완주군은 5일 봉동읍을 시작으로 6일 구이면과 소양면, 10일 삼례읍과 고산면에서 전주·완주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 방안에 대한 주민설명회를 개최한다고 4일 밝혔다.
주민설명회에서 군은 전주시와의 버스요금 단일화 협의 과정 및 쟁점과 시내버스 지·간선제의 장·단점, 타지역 성공·실패 사례 등을 설명하고 주민들의 견해를 들을 계획이다. 오는 18일부터 열리는 전주시의회 제315회 정례회에서 ‘전주·완주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 추진 동의안’에 대한 재심의가 예정된 만큼, 이에 앞서 주민들의 의견을 물어 군의 방침을 정하겠다는 취지다.
완주군은 지·간선제를 중심으로 한 버스노선 개편에 주민들이 동의할 경우 전주시와 협의, 논란이 된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 시행 협약서’의 문구를 재조정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주민들이 지·간선제 도입에 강력하게 반대할 때에는 전주시와 상관없이 자체적으로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 방안을 마련, 시행하는 쪽에 무게를 두고 있다.
완주군 관계자는 “주민들이 지·간선제 도입에 반대할 경우 시내버스 단일 요금제를 자체적으로 추진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며 “독자 추진을 위한 법적인 근거(조례)와 구체적인 시행 방안이 따로 준비돼 있다”고 밝혔다.
완주군 예산으로 전주·완주 시내버스 단일 요금제를 시행하고, 그 혜택을 완주군민들에게만 부여할 수 있는 세부 방안을 마련해 놓았다는 설명이다.
이에 앞서 전주시의회 도시건설위원회는 지난달 22일 ‘전주·완주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 추진 동의안’을 심의했으나 찬반 의견이 엇갈리면서 다음 회기로 처리를 유보했다. 완주군이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 시행 협약서’ 초안에 ‘지·간선제는 2016년 상반기에 시범운행을 실시하고 문제가 없을 경우 2016년 하반기에 시행한다’며 단서를 달아 놓은 게 문제가 됐다.
전주시와 시의회는 굴곡노선과 장거리노선에 따른 교통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지·간선제 중심의 버스노선 개편이 요금 단일화의 전제가 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요금 단일화를 앞세운 완주군은 노인 등 교통약자들의 환승 불편과 노선개편에 따른 주민 혼란 등을 들어 지·간선제 도입에 다소 소극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