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꽃 소재로 단시조처럼 3연 6구로 된 시

경찰 출신 이근풍 시인 15번째 시집 〈가슴에 뜨는 별〉

단시조의 형식을 차용한 시집이 나왔다.

 

이근풍 시인은 15번째 시집인 <가슴에 뜨는 별> (오늘의문학사)을 냈다.

 

지난 2013년에 발간한 13번째 시집 <아침에 창을 열면> 에서 4구체, 8구체, 10구체의 향가 형식을, 지난해 14번째 시집 <내 가슴의 꽃으로> 에서 향가의 정제된 시형을 본땄던 그가 올해는 단시조 형식을 시도했다.

 

이번에는 3장6구로 이루진 단시조처럼, 3연6구를 기본으로 시를 구성했다. 모두 4부로 나눠 107편을 실었다.

 

그는 “여러 시집을 발간하면서도 똑 부러지는 시를 빚지 못한다는 자괴감으로 가슴앓이를 하다 온고지신(溫故知新)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그는 찔레꽃, 백목련, 수련, 해바라기, 장미, 석류 등 주로 꽃을 소재로 했다. 시 ‘구철초’의 경우 ‘한 굽이 돌아가야/만날 수 있는 꽃//애달픈 사랑이야기/산마루를 넘네.//넘어왔던 고갯길/되돌아가야 할 시간.’으로 대부분의 시가 이와 같이 이뤄졌다.

 

이근풍 시인은 임실 출신으로 전북대 상대를 졸업하고 경찰공무원으로 정년퇴임했다. 계간 <오늘의문학> 제16집에 ‘할미꽃’ 등 4편의 시를 발표하며 문학에 발을 들였다. 저서로 시집 <나에게 쓰는 편지> , <아침에 창을 열면> , <내 가슴의 꽃으로> 등 모두 15권이 있다.

이세명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자치·의회전북자치도, 재생의료특구 지정 위한 특별법 개정 본격화

정치일반새만금산단 입주기업, RE100 실현 ‘첫발’…태양광 발전설비 준공

장수장수군, 2025년산 공공비축미 건조벼 매입 시작

고창가수 정삼·이청아, 고창군 귀농귀촌 홍보대사 위촉

자치·의회전북 하수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