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30여년간 세상에 내놓은 동시 한 권에

진안출신 허호석 시인 100편 묶은 '선집' 발간

교사에서 아동문학가의 길을 걷는 허호석 시인의 대표작을 엮은 <허호석 동시선집> (지식을만드는지식)이 나왔다. 전체 5부로 나눠 각각 20편씩 모두 100편의 동시로 구성했다. 그가 지난 1986년부터 최근까지 세상에 내놓은 시와 일부 미발표작이 수록됐다.

 

작가가 직접 대표작을 고르고 자기 소개를 써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 허 시인은 동시에 대한 신념과 문학의 길에 들어서게 된 계기를 밝혔다.

 

그는 “시는 사생화가 아닌 상상화다”며 “시는 눈이 아니고 감각이기 때문에 몸이 살짝 가려져야 궁금함도 호기심도 느낄 감각의 자유를 얻게 되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보이는 것이나 상황을 아름답게 묘사만 한 글은 독자에게 외면당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시가 갖춰야 할 덕목으로 멋과 맛을 꼽았다.

 

저자는 “시에서 멋이란 탄력이요 매력이다. 궁금함과 호기심, 다시 한 번 보고 싶은 읽고 싶은 충동을 의미한다”며 “맛이란 내면의 향기요 감칠맛이다. 더 먹고 싶은 군침이며 당김이다”고 정의했다.

 

그래서 ‘산새 둥지처럼/산기슭’의 ‘외딴집’도 ‘물소리와 햇살이 오순도순 사는 집’으로 ‘물소리가 집 비우면 햇살이 집을 보’는 곳이다.

 

그는 동시에 대한 편견에도 일침을 가했다.

 

저자는 “아동문학은 쉬운 문학이라며 얕잡아 보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난해한 현대시를 예술성이 있다고 보는 착각에서 비롯됐다”면서 “아동문학은 현실을 초월하는 꿈과 희망의, 놀라운 상상의 미래문학으로 쉽게 표현하는 글 속에 예술성을 가미하기가 더욱 어렵다”고 밝혔다.

 

그는 100편의 시 말미에 글을 쓰게 된 사연을 고백했다. 부인에게 구애하기 위한 ‘끄나풀’로 쓴 쪽지 편지가 문학의 근간이라며 결혼담을 들려주었다. 그는 고교 졸업 뒤 대학 진학을 포기하고 낙향했다 교회에서 만난 부인 때문에 진로를 바꾸고 우여곡절 끝에 사랑을 완성했다고 전했다.

 

허호석 시인은 진안 출신으로 서울문리사범대학을 졸업한 뒤 38년간 교직에 몸 담았다. <월간문학> 시 부문 신인상으로 등단했다. 시집 <하얀비> , <햇살의 첫 동네> , <산벚꽃> 과 위인전기문 등 17권을 출간했다. 현재 국제펜클럽 자문위원, 진안예총 명예회장, 한국아동문학회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세명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자치·의회전북자치도, 재생의료특구 지정 위한 특별법 개정 본격화

정치일반새만금산단 입주기업, RE100 실현 ‘첫발’…태양광 발전설비 준공

장수장수군, 2025년산 공공비축미 건조벼 매입 시작

고창가수 정삼·이청아, 고창군 귀농귀촌 홍보대사 위촉

자치·의회전북 하수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