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북 출신 임규·한윤이 작가 재조명

〈한국지역문학연구〉 제6집

지역 출신의 문인을 재조명하는 연구집이 나왔다. 한국지역문학회는 <한국지역문학연구> 의 제6집을 간행했다. 이번 호에서는 도내 출신의 임규, 한윤이 작가를 소개했다.

 

국어국문학자인 정훈 씨는 1910년대 재담집인 <개권희희(開券嬉嬉)> 와 함께 저자인 임규(1867~1948) 작가를 조망했다. 이 책은 육당 최남선의 2살 위 형인 최창선 씨가 당시 운영하던 서울의 신문관에서 발행했다. 책을 열어 읽어 보면 낄낄거리며 웃을 수 있다는 뜻의 제목이다.

 

본문에 익산에 속했던 금마 출신의 임규 작가의 필명인 ‘우정거사(宇丁居士) 담(談)’을 저자로 밝혔다. 국한문혼용체로 100편의 이야기가 각각 선생, 시아버지와 며느리 등 일반인을 과장, 풍자, 조롱의 대상으로 삼아 짤막한 에피소드가 연속된다.

 

정 씨는 “ <개권희희> 는 조선시대 야담을 계승했다”며 “격변기에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일반인을 계몽해야 할 대상으로 바라봤다”고 해석했다. 그는 이어 “단순한 언어유희나 웃음을 넘어 중인 계급의 후손인 작가의 처지와 시대적 상황을 살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임규는 당시 익산 군수 아들인 조만조와 정병조가 방에서 글 읽는 소리를 듣고 사서삼경을 깨쳤다고 알려졌다. 이후 16세 때 일본으로 유학해 게이오대학 경제학과를 졸업했고 당시 조선 유학생에게 일본어를 가르쳤으며, <일본역법> 과 같은 일본어학과 책을 내기도 했다.

 

문학평론가 최명표 씨는 한윤이 작가의 작품 ‘밀집 이야기’를 중심으로 ‘동화의 폭력성 연구’ 논문을 실었다. 한 작가는 전주 출신으로 1976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동화 ‘동박골 아이들’의 당선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최 씨는 “한 작가는 동화 속에서 서사의 진행을 방해하거나 지연하고, 인물을 괴롭혀 주제 의식을 도드라지는 장치로 폭력을 사용했다”며 “그에게 동화는 어린 시절을 회상하며 행복했던 고향의 정서를 불러오는 장르로 기능했다”고 풀이했다.

이세명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자치·의회전북자치도, 재생의료특구 지정 위한 특별법 개정 본격화

정치일반새만금산단 입주기업, RE100 실현 ‘첫발’…태양광 발전설비 준공

장수장수군, 2025년산 공공비축미 건조벼 매입 시작

고창가수 정삼·이청아, 고창군 귀농귀촌 홍보대사 위촉

자치·의회전북 하수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