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산지인데 관내 소요량 중 37%만 농가 보급 / 반디랜드, 위원회 심의 안 거치고 전시물 구입 / 전북도, 종합감사 결과 발표
전국적으로 천마 주산지로 꼽히는 무주군이 산하 종균배양센터를 통한 천마종균의 농가 보급에 소홀한 것으로 지적됐다. 또, 무주 반디랜드 곤충박물관에 설치할 전시물을 구입하는 과정에서 운영위원회와 실무위원회 등을 거치지 않고, 1억5400만 원 상당의 전시물을 구입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북도 감사관실은 21일 이 같은 내용의 무주군 종합감사 결과를 발표했다.
감사결과에 따르면 무주군 종균배양센터는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관내 천마종균 총 소요량 68만2000병 중 25만3000병(37%)만을 농가에 보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상당수 천마재배 농가들은 다른 지역 민간종균업체를 통해 종균을 구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종균은 씨로 쓸 홀씨나 팡이실 등을 뜻하는 데, 종균 보급이 원활하지 못해 6억8400만 원에 달하는 종균 구입비가 다른 지역으로 유출됐다는 게 전북도의 지적이다.
이에 무주군에서 농가의 종균 소요량을 제때 예측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천마는 뿌리와 잎, 엽록소가 없으며 뽕나무 버섯균과 공생하는 희귀식물로 동의보감에서는 뇌 질환 계통의 질병에 효능이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무주지역은 천마의 주산지로 전국 생산량의 57%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무주군은 농림수산식품부로부터 ‘우수품종 증식 보급사업’ 지원을 받아 2012년 1월 전국 최초로 종균배양센터를 조성했다.
도 관계자는 “무주지역 천마재배 농가에 우량 종균을 확대 공급하는 방안을 마련하도록 권고 조치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무주군은 지난해부터 농가에 보급하는 종균 병당 수량이 850㏄에서 1000㏄로 늘면서 보급 가능한 종균 병수가 줄었고, 농협에서 종균 공급처를 여러 지역으로 배분하면서 자체 보급률이 다소 떨어졌다고 해명했다.
무주군 관계자는 “배양시설 규모와 종균 생산능력이 소요량을 따라잡지 못했다. 재배농가에 종균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종균 배양시설을 확충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무주 반디랜드 곤충박물의 부적정 운영도 도마에 올랐다.
관련 조례에 따라 전시물의 취득·처분 땐 실무위원회의 평가·심의를 받아야 하는 데도 무주군은 이런 과정을 거치지 않고 전시물 구입비를 집행했다.
또한 수장고에 보관된 전시물관리대장을 작성하지 않았고, 500만 원 상당의 전시물과 폐기대상 전시물(62점)을 수 년째 내버려 두는 등 전시물 관리에 허점을 보였다.
이어 무주군은 봄철 조림, 도시숲 조성 등 모두 14건의 20억 원 상당의 예산이 투입되는 산림사업 사업자 선정과정에서 충분한 검토없이 수의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전국적으로 인조암 제작업체가 28개에 달하는데도 조달청에 등록된 1개 업체와 특별한 사유없이 15억1200만 원 상당의 수의계약을 맺었다.
도는 이런 지적사항 등이 포함된 모두 35건 부적정 운영사례를 적발해 시정(15건), 주의(14건), 시정·주의(5건), 권고(1건) 등의 조치를 취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