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북도 내년 예산 8조7462억 원 편성

사회복지 36.5% 최다, 농림해양수산 16.9%, 일반공공행정 6.4% 순

강승구 전북도 기획조정실장이 2021년 전북도 예산안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전북도
강승구 전북도 기획조정실장이 2021년 전북도 예산안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전북도

전북도 2021년도 예산안이 8조7462억 원 규모로 편성됐다. 내년 예산안은 올해보다 11.8% 증가한 규모로 본예산 기준 사상 처음으로 8조 원 시대를 맞는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세입 감소 등 어려운 경제 여건에서 세출 규모 축소로까지 이어질 경우 자칫 지역경제 전반적인 침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판단이 작용했다. 이같은 재정지출 확대를 통해 경제안정과 부양에 집중하겠다는 의도다.

전체 규모 중 회계별로는 일반회계가 7조1051억 원(9173억 원 증가), 특별회계 8824억 원(2567억 원 증가), 기금은 7587억 원(2540억 원 감소)이 반영됐다. 일반회계 가운데 ‘사회복지’ 부문이 2조5896억 원(36.5%)으로 비중이 가장 높았고, 농림해양수산 1조1995억 원(16.9%), 일반공공행정 4527억 원(6.4%) 순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등 어려운 경제 여건 속에서도 올해 대비 11.8%의 예산이 증가한 이유로는, 국고보조금 증액이 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북도의 세입은 약 700억 원이 줄었지만 국고보조금은 8397억 원 가량이 늘면서 전체 규모가 증가했다.

호우피해복구 예산으로 1700억 원이 포함됐고, 전북도가 시행한 기본형 공익직접 지불제에 따라 1391억 원이 증액됐다. 보편적 복지 확대정책에 따라 기초연금을 소득 하위 40%에서 70%까지 확대 지원하기 위해 기초연금 부문에도 1118억 원이 증가했다. 지역사랑상품권 지원(624억 원), 새만금 유역 하수관로정비(404억 원) 등에도 대폭 증액이 이뤄졌다.

이에 따라 전북도는 △경기부양 2112억 원 △고용유지·일자리 창출 7723억 원 △전북형 뉴딜 3546억 원 △재난대응체계 구축 4091억 원 △포스트코로나 미래성장동력 6744억 원 △주요 시책 추진 1조1845억 원 등 6개 주요 분야에 전략적으로 재원을 배분했다.

아울러 내년도 예산안 재원 부족 우려에 대해서는 지역개발기금에서의 융자 등을 통해 해결했다.

실제 전북도는 민간소비 위축으로 지방소비세 등 지방세 259억 원과 법인세 등 내국세 감소에 따라 보통교부세 178억 원 등이 전년 대비 각각 감소할 것으로 추계했다. 더욱이 올해 1·2·3차 추경편성으로 순세계잉여금(거둬들인 세금에서 지출금액을 뺀 나머지)이 대폭 감소했고, 내년 정부 예산 증가에 따른 도비 매칭도 급증해 재원이 부족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전북도는 확장적 재정 기조하에 전략적 재원 배분을 통해 도가 운용하는 재정안정화기금 180억 원과 지역개발기금 1300억 원을 융자해 총 1480억 원의 부족 재원을 마련했다.

내년도 예산안은 11일 도의회에 제출하고, 제377회 도의회 정례회(23일)에서 송하진 도지사의 2021년도 도정 운영 방향 및 예산(안) 제안설명을 시작으로 상임위별 심사 이후 내달 14일 예산 확정(의결)될 예정이다.

천경석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2035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50∼60%' 또는 '53∼60%'로

군산군산시, 체납차량 야간 영치 단속 실시···고질·상습 체납 17대 적발

군산전북에서 가장 오래된 콘크리트 다리 ‘새창이다리’ 존폐기로

전시·공연부안여성작가 13명, 30일까지 제9회 단미회展 ‘Art Memory’

부안김양원 부안발전포럼 대표, 22일 「통쾌한 반란,함께 만드는 내일」 출판기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