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쿠데타로 인한 사망자가 800명을 넘었고 체포, 구금된 사람이 5000명을 넘어섰다한다. 군경의 유혈진압으로 어린이들마저 희생되고 있다. 이에 미얀마 ‘알파(α) 세대’가 손팻말을 들고 거리로 뛰쳐나왔다.
아이들은 미얀마 문민정부가 출범한 2015년 이후 첫 민주화 시대의 출생자들이다. 곧 미얀마의 희망이다. 아이들이 손에 팻말을 들고 외치고 있다.
“우리 친구를 죽이지 마세요”
“우리는 학교에 가고 싶어요.”
“우리의 미래를 죽이지 마세요”
미얀마 아이들이 안전하기를 간절히 바라며, 미얀마의 민주화를 지지하는 아동문학가들이 세 손가락을 번쩍 치켜들었다.
전북일보는 전북작가회의에 이어 전북아동문학회의 응원 동시를 5차례에 걸쳐 연재한다. 이역만리 미얀마에 대한 응원은 계속된다.
------------------------------------------
미얀마 아이들
총알이 빗발치는 미얀마에
붉은 꽃이 피었습니다
탕! 탕! 탕탕탕! 탕!
총소리가 울려 퍼질 때마다
일곱 살 소녀, 킨 묘 칫
열네 살 소년, 뚠뚠 아웅
열다섯 살, 조 묫 탯
반짝이는 눈망울
환하게 웃고 있는 아이들 가슴에도
붉은 꽃이 피었습니다
미얀마의 끔찍한 봄이 앗아간
자유와 평화의 꽃입니다
우리 다 같이 세 손가락 치켜들고
“경례”
-----------------------------------
△박예분 아동문학가는 2004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동시 ‘솟대’로 당선됐다. 동시집 <햇덩이 달덩이 빵 한 덩이> <안녕 햄스터> , 그림책 <피아골 아기고래> <우리 형> <달이의 신랑감은 누구일까?> 등을 냈다. 달이의> 우리> 피아골> 안녕> 햇덩이>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