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도보여행가 신정일 "나는 그곳에 집을 지어 살고 싶다"

문화재위원, 문화사학자, 도보여행가 신정일
30여 년에 걸쳐 찾은 머물러 살고 싶은 곳 소개

image
사진=교보문고 홈페이지

문화재위원이자 문화사학자, 도보여행가 신정일이 30여 년에 걸쳐 찾은 머물러 살고 싶은 곳들 <나는 그곳에 집을 지어 살고 싶다>(창해)를 펴냈다.

이번에 출간한 책은 1편으로 강원ㆍ경상ㆍ제주편이다. 책에 소개된 22곳은 산천이 수려하고 아름다운 곳, 역사 속에 자취를 남긴 인물들이 삶터를 영위했던 곳이다.

강원도 양양, 평창, 영월부터 경북 봉화, 영주, 영양, 예천, 상주, 성주, 안동, 경주와 경남 거창, 합천, 함양, 산청, 남해, 통영에 제주 북제주, 대정읍, 산방산까지 공기 맑고 듣기만 해도 여행 욕구가 생기는 지역 소개가 줄을 잇는다.

그는 문화유산답사를 위해 전국을 떠돌고 남한의 8대강을 걸었다. 조선시대의 대동맥인 영남대로, 삼남대로, 관동대로를 걷고 부산 해운대 달맞이고개에서 통일전망대까지 이어진 바닷가 길과 함께 한국의 산 400여 개에 올랐다. 그동안 다녔던 곳을 하나씩 하나씩 다시 떠올려 보며 좋았던 곳만 선별했다.

도보여행가 신정일은 단순하게 지역 소개만 한 것이 아니라 그 지역에 해당하는 재미있는 이야기, 그곳에서 느꼈던 감정, 거기에 그곳의 역사까지 모두 기록했다. 

처음부터 좋은 장소, 좋은 지역이 눈에 들어왔던 것은 아니다. 많이 돌아다니다 보니 눈에 익고, 지역이 보이고, 살고 싶은 곳이 하나둘 눈에 들어왔다. 책으로만 본다고 해서 세상이 보이고 지역이 보이진 않지만 도보여행가 신정일로 인해 몰랐던 곳도 알게 되고 몰랐던 사실도 알게 되는 것이 매력적이다.

도보여행가 신정일은 머리말을 통해 “이 책에 수록된 지역들은 순전히 필자의 입장에서 바라본 곳이다. 땅값의 높낮이 하고는 아무런 연관관계가 없으며, 오로지 내가 집을 짓고 오래도록 살았으면 했던 곳”이라고 전했다.

그는 사단법인 우리땅 걷기 이사장으로 우리나라에 걷기 열풍을 가져온 도보답사의 선구자다. 1980년대 중반 황토현문화연구소를 설립해 동학과 동학농민혁명을 재조명하기 위한 여러 사업을 펼쳤다. 1989년부터 문화유산답사 프로그램을 만들어 현재까지 길 위의 인문학을 진행하고 있다.

 

박현우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외교 ‘강행군’ 여파 속 일정 불참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전주시 6시간 28분 49초로 종합우승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통산 3번째 종합우승 전주시…“내년도 좋은 성적으로 보답”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종합우승 전주시와 준우승 군산시 역대 최고의 박빙 승부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최우수 지도자상 김미숙, “팀워크의 힘으로 일군 2연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