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과 사람에 깃든 섭리와 온기 전달
김영춘(66) 시인이 자신의 세 번째 시집 ‘다정한 것에 대하여’(애지)를 펴냈다.
문단에서 시인은 보다 민중적인 서정의 세계를 그리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번 시집은 사물과 사람에 깃든 섭리와 그 은근한 온기를 살피는 시선이 아로새겨져 있다.
시인은 현실을 살아가는 존재의 내면에 대해 슬며시 눈길을 돌린다.
서로 다른 삶의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세상에서 시를 통해 시인이 간직한 서정적인 눈빛을 건네 보는 것이다.
복효근 시인은 발문을 통해 “시인은 생의 순간순간에 마주하는 다정의 얼굴을 구체적인 국면을 통해 그려 보여주고 있어 실감으로 다가온다”며 “다시는 못 볼 것처럼 오래 다정한 눈빛을 건네며 다양한 빛깔로 그 다정을 노래한다”고 밝혔다.
오랫동안 교육 운동에 몸담아온 시인은 정이 많고 속이 깊은 사람이다.
그러한 내면이 시에서도 잘 투영돼 있어 오롯이 드러나있다.
“산봉우리에/ 형제봉이니 자매봉이니 하는 이름을 붙여놓고/ 살던 사람들이 있다/ 행여 사이가 좋지 못할까봐/ 형제자매들까지 데려다 놓고는/ 오래 오래 그렇게 부르고 싶었을 것이다”(시 ‘다정한 것에 대하여’ 중에서)
그의 시에는 현재 살고 있는 전주지역 주변의 풍경과 그 속에 잠들어있는 이야기를 들춰내려 한 흔적이 돋보인다.
그리고 이 시대의 시들어가고 소멸하는 것들의 가치에 대해 주목하면서 사람들이 지녀야 할 삶의 태도와 가치에 대해서도 고민을 공유한다.
김사인 시인은 추천사를 통해 “작위나 허세는 흔적도 없다”면서 “방심한 듯한 시의 갈피마다 스민 순정 앞에서 읽는 이들은 하릴없이 무장을 해제 당한다”고 밝혔다.
두 번째 시집 출간 이후 10여 년 만에 시집을 출간한 시인은 이렇게 소회를 피력한다.
“요즘은 문학청년 시절을 떠올리게 할 만큼 하루 종일 머릿속에 시 생각이 가득합니다. 그동안 쉼 없이 생각해 왔던 나다운 시를 한두 권쯤 더 묶을 수 있겠다 싶은 생각이 쏠쏠한 희망이 되기도 합니다.”
고창 출신인 그는 1988년 실천문학 복간호를 통해 작품 활동을 시작했으며 전주 솔내고와 군산동고 등지에서 교편 생활을 했다.
시집으로 <바람이 소리를 만나면>, <나비의 사상>이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