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픽! 전주국제영화제] 한국의 스필버그, 배창호 감독 "영화는 실험성과 이야기 모두 필요"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 배창호 특별전 '대중성과 실험성 사이에서'
배창호 "최인호 작가는 엄청난 스토리텔러…가장 감사한 분"
생명력 갖춘 영화는 창작자가 직접 경험하고 가슴으로 이해해야

image
3일 오전 전주 중부비전센터에서 열린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 배창호 특별전 대중성과 실험성 사이에서 기자회견에 참석한 배창호 감독과 문석 프로그래머. 사진=박은 

 

“영화는 형식과 실험, 이야기가 모두 녹아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형식과 실험적인 시도, 이야기가 혼연일체가 되어서 관객들이 완전히 빠져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후에 학자들이나 평론가들이 (영화를) 분석했을 때 형식을 논하고, 실험적인 시도들에 대한 새로운 발견을 읽어내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3일 오전 전주 중부비전센터에서 열린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 ‘배창호 특별전 : 대중성과 실험성 사이에서’ 기자회견에 참석한 배창호 감독은 ‘영화를 만들면서 대중성과 실험성 사이에서 어떤 관점에 더 비중을 두느냐'란 질문에 대해 이렇게 대답했다. 

image
3일 오전 전주 중부비전센터에서 열린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 배창호 특별전 대중성과 실험성 사이에서 기자회견에 참석한 배창호 감독이 기자의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 사진=박은 기자 

올해 전주국제영화제에서 마련한 배창호 특별전 : 대중성과 실험성 사이에서는 1980년대와 1990년대 한국영화 산업의 대중스타로 군림하면서도 다채로운 영화적 실험을 시도했던 배창호 감독을 주목하는 행사이다.  배창호 감독의 영화와 삶에 관한 다큐멘터리 <배창호의 클로즈업>을 월드프리미어로 공개하고 디지털로 복원한 장편영화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1984) <황진이>(1986) <꿈>(1990) 등 3편을 상영한다. 

문석 프로그래머는 “배창호 감독님은 1980년대 한국의 스티븐 스필버그라고 불리며 총 18편의 장편영화를 제작했다”며 “고래사냥, 깊고 푸른 밤이라는 영화를 만들었고 1986년 영화 황진이를 기점으로 영화를 통한 배창호만의 예술세계를 보여줬다.  대중영화 시스템 안에서 과감한 실험 정신을 투여해 자신의 길을 스스로 열어간 배창호 감독은 한국영화계에서는 흔치 않은 아이콘"이라며 특별전 개최 배경을 설명했다.  

image
3일 오전 전주 중부비전센터에서 열린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 배창호 특별전 대중성과 실험성 사이에서 기자회견에 참석한 배창호 감독이 '브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박은기자 

배창호 감독은 “영화 황진이,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꿈까지 영화 세편 모두를 디지털로 리마스터링(remastering)해서 보여주는 게 전주국제영화제가 처음”이라며 “필름은 필름대로의 장점이 있지만 디지털이라는 기술을 입혔더니 제가 보지 못했던 모습까지도 캐치할 수 있어서 매우 흡족하다"고 말했다. 

특히 이번 특별전은 배창호 감독의 영화 인생 40년을 돌아보는 다큐멘터리 <배창호의 클로즈업>이 처음으로 공개돼 주목을 받았다. 영화는 감독이 연출한 18편의 영화에 등장하는 공간을 따라가며 제작 관련 비화, 감독의 예술관을 서술하는 에세이 형식의 다큐멘터리다.  감독은 이번 다큐를 제작하면서 감사했던 분들이 많이 떠올랐다고 회고했다. 

그는  “영화 클로즈업 타이틀에도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는 문구를 삽입했는데 18편의 영화를 만드는 동안 가장 감사했던 분은 바로 최인호 작가이다"며 "저에게 작품의 스토리를 제공해줬고 (영화의) 대중성을 갖출 수 있도록 도움을 주셨다. 그분의 스토리가 없었다면 80년대 제작한 영화들은 나오지 못했을 것이다. 최인호 작가는 대단한 소설가이지만 엄청난 스토리텔러”라며 깊은 고마움을 드러냈다. 

이날 감독은 자본이 잠식해버린 영화산업의 현실과 이러한 산업에 순응해야 하는 영화계 후배들에 대한 애정 어린 조언을 남겼다. 

후배 영화인들에게 안타까움을 느끼고 있지만 어떤 조언을 해줘야할지 모르겠다던 그는 “(영화에는) 몇 백억의 자본이 투자되기 때문에 자신의 영화 세계를 펼칠 수 없을 것이다. (그렇지만) 생명력 있는 영화를 찍으려면 창작자가 직접 경험하고 가슴으로 이해한 것들을 찍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픽! 전주국제영화제] 배우부터 연출까지, '이정현'의 영화 서사 [픽! 전주국제영화제] 배우 겸 연출가 박리디아, 전주국제영화제 레드카펫 참여 [픽! 전주국제영화제] JIFF 굿즈 구하러 '오픈런'…시네필들 업사이클링 굿즈에 '열광' [픽! 전주국제영화제] '다큐멘터리는 우리에게 무엇?'...포럼에서 답 찾다 [픽! 전주국제영화제] '시네마 잔치' 첫 날, 영화가 일상이 됐다 [픽! 전주국제영화제] 숲속부터 연못까지⋯'책의 도시' 전주 이색 도서관 [픽!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 개막 [픽!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 배우 에스테르 톰파 "결국 영화는 집에 관한 이야기" [픽| 전주국제영화제] 상영관 밖 다채로운 부대행사 톺아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오피니언[사설] 전북교육청 3년 연속 최우수, 성과 이어가야

오피니언[사설] 전북도, 고병원성 AI 방역 철저히 하길

오피니언[오목대] 학원안정법과 국정안정법

오피니언[의정단상] 새만금에 뜨는 두 번째 태양

오피니언[타향에서]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조세정책과 우리 기업의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