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홍규권장가 (하)] 가난 이겨낸 조선 여인의 슬기
문학·출판 기고 01.10. 23:02[13. 홍규권장가] 혹독한 시집살이 이겨낸 여인의 미덕
문학·출판 기고 01.03. 23:02[12. 장현경의 사미인가(思美人歌)] 좌천에도 임금 그리움·사랑 노래
문학·출판 기고 12.26. 23:02[11. 정극인 상춘곡 (하)] 담양의 면앙정가단 형성, 조선조 가사문학의 원천
문학·출판 기고 12.19. 23:02[10. 정극인의 상춘곡 (중)] '서정·서사·교훈' 종합 복합장르
문학·출판 기고 12.12. 23:02[9. 정극인의 상춘곡 (상)] 처가 칠보에 '불우헌' 짓고 자연 벗삼아 안빈낙도 추구
문학·출판 기고 12.05. 23:02[8. 서동요와 무왕 (하)] 선화공주 간청으로 미륵사 창건
문학·출판 기고 11.28. 23:02[7. 서동요와 무왕 (상)] 삼국유사 속 낭만적 사랑 이야기
문학·출판 기고 11.21. 23:02[6. 정읍사 (하)] 믿음 바탕 여유로운 기다림 미학
문학·출판 기고 11.14. 23:02[5. 정읍사 (중)] 달 보며 남편의 무사기원
문학·출판 기고 11.07. 23:02[4. 정읍사 (상)] 묵묵히 참고 따르는 '기다림의 미학' 절정
문학·출판 기고 10.31. 23:02[3. 망부의 백제오가(百濟五歌) (하)] 정읍사 여필종부 이념 춘향전에서 절정 이뤄
문학·출판 기고 10.24. 23:02[2. 망부의 백제오가(百濟五歌)-(상)] 여인네 고운 정절 형상화 '정읍사'만 전해져 아쉬움
문학·출판 기고 10.17. 23:02[1. 연재를 시작하며] 가사, 판소리에 현대시조까지 '전국 호령'
문학·출판 기고 10.10. 2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