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청년 이장이 떴다] "나도 꼬부랑 간판 읽고 싶어"⋯할매들이 영어를 공부하게 된 사연

"수요일 아지트가 즐겁다" 영어수업 오픈 첫날 수능 앞둔 고3 교실 방불
눈이 안 보여도, 손이 굳었어도 할머니들 "아이 캔 스피크" 학구열 '활활'

image
지난 6일 화정마을 아지트에서 열린 청년 이장표 영어 수업에 참여한 할머니들이 수업을 듣고 있다. 조현욱 기자

'청년 이장' 취재진들이 만든 화정마을 아지트가 문 연 지 하루도 안 돼 소란스럽습니다. 매서운 한파에 벌벌 떨면서도 할머니들이 아지트로 모여듭니다. 저기 멀리 학생처럼 가방을 들고 오는 오율례(76) 할머니도 보이네요.

할머니들이 아지트에 왜 모였냐고요? 오늘은 아지트에서 영어 수업이 열리는 날입니다. 지난 6일 오후 1시 30분에 열린 영어 수업은 그동안 할머니들에게 접수된 민원 중 하나였습니다.

몇 주 전 이칠월(90) 할머니는 슬쩍 다가와 "청년 이장, 영어 좀 아는가? 장에 나가믄 간판을 못 읽겄당게"라고 말했습니다. 며칠 전 일본 여행을 다녀온 율례 할머니도 "화장실이 일본어·영어로 쓰여 있는데 뭐라고 써 있는지 몰라 못 갔다"며 멋쩍게 웃어 보였습니다.

화정마을에서 가장 젊은 사람도 환갑이 넘었다 보니 대부분 영어보다는 한자에 익숙한 세대뿐입니다. 한자는 막힘없이 턱턱 읽을 수 있지만 꼬부랑 글씨 같은 영어는 언제 봐도 큰 산처럼 어려워만 보입니다. 읍내에 나가도 간판마다 영어가 잔뜩 적혀 있는 터라 못 들어가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이것이 청년 이장으로서 영어를 알려 드려야겠다고 결심하게 된 계기입니다. 화정마을에 처음 발을 디뎠을 때 불편한 일이 있다면 언제든 의뢰해달라고 말한 청년 이장들이 말을 지킬 때가 왔습니다.

image
지난 5일 화정마을 아지트에서 열린 청년 이장과의 영어 수업에 참여한 한 할머니가 영어 노트에 알파벳을 쓰고 있다. 조현욱 기자

대망의 첫 수업 날, 수능을 앞둔 고3 교실을 방불케 했습니다. 오랜만에 연필을 잡고 딱딱한 의자에 앉았지만 불편한 내색 없이 영어 수업에 집중했습니다. 눈이 침침해 선도 잘 안 보이지만 영어 노트 위에 알파벳을 쓰고 지우고를 반복합니다. 처음 써 보는 영어 노트에 대문자, 소문자 할 것 없이 다 한 줄에 쓰기도 합니다. 그래도 좋습니다.

갑자기 칠월 할머니가 벌떡 일어나십니다. "할머니, 왜 그러셔요. 뭐 불편하셔?"라고 묻자 "눈이 침침혀! 안 보여! 나 집만 빨리 갔다 올게"라고 대답하십니다. 돋보기 안경이 없어 집중하기 어렵다는 할머니입니다.

1시간이 넘도록 알파벳을 쓰면서 굳어버린 손이 아파 바르르 떨더라도 내색조차 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집에서 복습하겠다며 다 걷어온 영어 노트와 연필·지우개를 찾으십니다. 할머니들의 얼굴에는 열일곱 소녀처럼 웃음꽃이 피었습니다.

"아이고, 진짜 고맙습니다. 선생님, 나 정말 영어 배우고 싶었는디 너무 고마워."

오늘 영어 수업은 아주 성공적으로 끝났습니다. 진은 쏙 빠졌지만 할머니들을 위해서 우리는 매주 수요일 오후 1시부터 1시간 영어 수업을 하기로 했습니다. 농번기가 오면 이마저도 어려워질 테니 조금씩 속도를 내 보려고 합니다.

화정마을 영어 수업은 다른 수업과 달리 목표가 크지 않습니다. 1등을 만드는 것도, 유창한 영어 회화를 하는 것도 아닙니다. 단순히 ABC 수준이어도 좋습니다. 그냥 읍내에서 열리는 시장에 가셔서, 자식·손주와 해외에 나가서 영어 간판을 읽지 못해 헤매는 일이 없는 날이 오기를 그려 봅니다. 

디지털뉴스부=문채연 기자

문채연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