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항 항로 수심을 이대로 방치할 터인가.”
매년 항로 준설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군산항의 원활한 항만 운영에 먹구름이 드리워지고 있다.
군산해수청에 따르면 토사 매몰량에 비해 준설이 크게 미흡함에 따라 항로 수심이 당초 계획한 수심에 미치지 못함으로써 선박의 입출항에 지정을 초래하는 등 군산항의 항만운영이 파행을 빚고 있다.
군산항 항로에 퇴적되는 토사량은 매년 205만㎥에 달하고 있지만 지난 5년간 평균 준설량은 28만㎥로 퇴적량의 14%에 불과한 실정이다.
항로 준설량은 지난 2020년 19만㎥, 2021년 50만㎥, 2022년 13만㎥, 2023년 31만㎥, 2024년 28만㎥에 그치고 있다.
항로는 매년 12~84cm의 토사가 퇴적되고 있지만 준설이 제대로 뒷받침되지 못하면서 항로 수심 역시 계획된 수심을 만족치 못하고 있다.
군산항의 항로 수심은 2만톤급 선박이 이용하는 주항로는 10.5m, 항입구에서부터 5부두 전면 주항로는 5만톤급 선박의 상시 통항을 위해 13.5m로 계획됐지만 전혀 실현되지 않고 있다.
이는 매년 배정되는 유지 준설 예산이 시급한 선석 준설공사를 하기에도 턱없이 부족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따라 선석 준설공사를 한다고 해도 항로 수심이 선석 수심보다 낮아 항로에 퇴적된 토사가 선석으로 밀려 내려오면서 준설효과가 1년도 가지 못함으로써 준설예산 낭비 논란을 야기하는 것은 물론 항만운영에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실례로 지난해 2월 53번 선석의 준설공사가 이뤄졌음에도 같은 해 6~7월경 집중호우때 토사가 밀려 내려옴으로써 이 부두에서의 선박 접안이 어려워 다른 부두에서 하역하는 일이 발생했다.
특히 낮은 항로 수심이 선석 수심에 악영향을 미침으로써 항로와 선석 수심의 동반 하락을 가져와 일부 부두의 선석에 접안한 선박이 해저에 닿는 사고가 일어나기도 했다.
항만인들은 “선석은 매년, 항로는 당장 내년에 준설하지 않으면 군산항은 항만운영의 어려움에 봉착하게 될 것” 이라면서 “ 근본적인 준설대책강구 등 긴급 처방이 요구된다.” 고 입을 모으고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