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9개월 물동량 전국 11개 거점항만 중 가장 적어 물동량 감소폭 전국 평균 상회 근본적인 준설대책 추진으로 수심개선 여론
토사 매몰로 인해 대외경쟁력이 극도로 취약해지면서 물동량이 격감, 군산항의 위상이 국내 11개 주요 거점 항만 중 최하위에서 멈춰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과 군산해수청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9월까지 군산항의 물동량은 전년 동기에 비해 3.7%가 감소한 1594만여톤으로 전국 11억5100여만톤의 1.38%를 점유하면서 국내 11개 거점항만 중 가장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군산항의 물동량 감소폭은 전국 항만 물동량 평균 감소폭 3%보다 크며 경쟁항만인 목포항의 물동량이 0.1% 증가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특히 지난 9월 한 달 동안 전국 항만의 물동량이 전월 대비 4.6%가 감소하고 전년 동월 대비 0.8%가 증가했지만 군산항의 물동량은 전월과 전년 동월 대비 10.8%와 8%가 각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들어 지난 9개월간 누적 물량을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양곡의 경우 울산항이 12.7%, 평택 당진항이 1.5% 늘어난 데 비해 군산항은 무려 24.7%나 감소해 큰 타격을 안겼다.
목재나 잡화도 마찬가지다.
목재는 전국적으로 11.2%의 감소에 불과했지만 군산항은 2배가 넘는 25.4%나 줄었고 잡화는 감소폭이 7%로 전국 감소폭 2.3%의 3배에 달했다.
이는 올들어 전반적으로 항만경기가 침체된 탓도 있지만 무엇보다 군산항의 토사 매몰 현상이 심각해지면서 1~7부두까지 계획 수심을 만족하는 곳이 없는 등 수심이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것이 주된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올들어 9개월동안 군산항의 선박 입항수는 외항선과 연안선을 합해 총 2698척으로 전년 같은 기간 2908척의 93%에 머물고 있는 등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이에따라 부두운영회사는 물론 예도선업계와 선박 대리점 등이 심각한 경영난에 직면하고 있는 등 항만종사자들의 생계 타격마저 크게 우려되고 있다.
항만관계자들은 “ 군산항의 토사매몰이 심각한 상태이지만 정부가 근본적인 준설 대책을 추진치 않는 탓에 수심 악화로 항만경쟁력이 바닥으로 추락해 있다” 고 들고 “ 이 상태가 지속될 경우 무역항으로서의 명맥도 잇기 힘든 상태가 예상된다.” 며 정부의 수심개선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안봉호기자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