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추진하고 있는 섬진댐 폐천부지 매각계획이 임실지역 등 수몰민들의 집단반발에 부딪쳐 난항이 예상되고 있다.
이 때문에 수자원공사가 추진하고 있는 광양 3단계 광역상수도사업이 차질을 빚고 있는 가운데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적성댐 축조계획이 가속화 될것으로 보여진다.
지난해 감사원이 지적한 자료에 따르면 전북도가 수몰민들의 집단민원 해소차원에서 건설교통부로부터 4백40만평의 섬진댐 폐천부지를 양여받았다는 것.
도는 이를 경제력이 없는 수몰민들에 우선적으로 매각, 이주대책비를 확보하겠다는 현실성 없는 계획을 수립하고 건교부에 지난 99년까지 주민 이주대책을 완료키로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3년이 지난 8월 현재까지 도가 매각한 폐천부지 현황은 농경지와 대지·임야 등 3백69필지 5만여평에 불과하고 매각대금도 8억1천만원에 그친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이 대부분의 매각지역도 경관이 수려한 운암대교 인근지역으로 국한된데다 부동산 투기지역으로 손꼽히고 있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와함께 임실군 운암면 생계대책위원회(위원장 박흥수)와 주민 1천여명은 19일 전북도의 이같은 매각계획에 즉각 반발하고 정부와 수자원공사·도의회 등 각처에 탄원서를 제출했다.
총 4개항으로 집약된 주민들의 요구사항은 댐 수위를 높이면서 발생되는 연간 43억원 가량의 잉여금을 피해주민들에게 보상금으로 지급하라고 촉구했다.
또 과다한 용지매수로 발생한 불용토지에 대해서는 무상불하를 실시하고 전국에서 유일하게 섬진댐에만 적용된 간접피해민에 대해서는 재보상을 요구했다.
이밖에 전북도는 지난 99년 옥정호의 상수원보호구역 지정시 약속했던 음식점 무허가 양성화와 운암면 소재지 제척문제 등 11개항을 조속히 이행하라고 건의했다.
한편 수자원공사는 섬진댐 폐천부지 매각이 순탄치 않을 것에 대비, 적성댐 축조를 계획하고 현재 임실과 순창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활발한 조사활동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