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입주 앞둔 혁신도시 정주여건 개선 추진

전주시, 버스노선 신설·상수도 공급 체계 등 대책마련 나서

올 하반기부터 인구유입이 시작되는 전북혁신도시의 교통·정주여건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과 관련, 전주시가 최근 정책조정회의를 갖고 대책마련에 나섰다. 하지만 시가 아직은 뾰족한 대안을 찾지 못하고 있어 입주민의 불편이 우려된다.

 

전주시는 지난 23일 정책조정회의를 개최하고 전북혁신도시 입주기관 관계자들과 입주민들의 교통편의를 위해 시내버스 노선 조정과 숙박시설 확충 등에 나선다고 28일 밝혔다.

 

전주시는 우선 혁신도시 입주기관 및 아파트 입주시기에 맞춰 오는 8월부터 2개 노선을 신설하고, 내년 3월부터는 전체적인 노선개편을 통해 버스 20대를 증차한다. 또 전북혁신도시 입주민들에게 친환경 농산물을 공급하기 위해 330㎡(100평) 규모의 통합로컬푸드 직매장을 개설하고, 2015년에는 친환경농산물유통센터를 설치해 생활편의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지방행정연수원 교육생들에 대한 숙박과 관련해서는 전북혁신도시 인근에 위치한 전주대 주변의 원룸을 이용할 수 있도록 시내버스를 증회운행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지방행정연수원의 교육생은 연인원 7300여명인 반면 연수원내 객실(333개)은 420명(333개 객실) 정도만 수용이 가능하다.

 

또한 다음달 안으로 간부공무원들이 전북혁신도시를 방문해 인도와 하수도시설 등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기반시설을 점검한 뒤 사업시행사(LH·전북개발공사)에 시정요구하기로 했다.

 

그러나 전북혁신도시내 대형할인점 입점은 불허한다는 기존 입장은 고수키로 했다. 통상 3000㎡ 이상인 대형할인점에 대해서는 혁신도시 지구단위계획을 변경해야 하지만, 시는 지역상권 보호를 위해 지구단위계획을 변경하지 않을 방침이다. 전북혁신도시(약 300만평)에는 지방행정연수원·대한지적공사·국민연금공단·한국전기안전공사·농촌진흥청 등 12개 공공기관이 올해 하반기부터 차례로 입주하며, 공동주택 8600여세대(임대 3000여세대 포함)와 단독주택 966세대가 들어선다.

 

시 관계자는 "당장 올 하반기에만 3만여명의 인구가 유입되면서 교통과 정주여건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입주민들이 불편을 겪지 않도록 대안을 찾겠다"면서 "당장 시급한 대중교통체계와 상수도 공급체계 구축 등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정진우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오피니언[사설] 진안고원산림치유원, 콘텐츠 차별화 전략을

오피니언[사설] 자치단체 장애인 의무고용 시범 보여라

오피니언[오목대] 활동적 노년(액티브 시니어)

오피니언[청춘예찬] 그땐 그게 전부였다 – 정신건강편

오피니언[금요칼럼]선호투표제가 대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