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 나쁘면 운항불가, 속도 느려 제 역할 못해 / 유지관리비 척당 연간 1억이상 들어 교체 시급
군산 고군산군도 섬 지역 행정업무를 담당하는 관공선(어업행정지도선)의 노후화가 심각해 신속한 교체가 요구되고 있다.
오래돼 낙후되다보니 속도가 느린 것은 물론 파도가 높은 날은 아예 운항조차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더욱이 연간 유지보수비만 관공선 한 척 당 1억여 원이 넘어가는 등 도서지역 행정업무 차질은 물론 예산을 낭비하는 천덕꾸러기로 전락하고 있다는 것.
22일 군산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1996년 건조된 어업지도선 209호(65톤)과 1992년 건조된 행정선 503호(31톤) 등 2대를 보유하고 있다. 애초 급수선까지 3대였지만 급수선은 이미 내구연한을 초과해 기능을 상실, 폐선 시켰다.
이들 관공선의 내구연한은 25년으로 어업지도선 209호의 경우 5년이 남았고 행정선의 경우 1년이 남았지만 사실상 운항이 버거운 실정이다.
게다가 이들 2척 관공선은 전국 지자체에서 보유하고 있는 관공선 가운데 가장 오래된 관공선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잦은 고장 및 느린 운항속도로 어선의 속도를 따라잡지 못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
24년 5개월이 지난 행정선의 경우 구형 선체로 파도가 1.5m 이상만 되도 운항이 불가한 실정이며, 구형엔진으로 동일유형 선박보다 2배 이상 유류가 소비된다.
또 엔진, 선체 노후로 저속운항(최고 12노트)이 불가피해 먼 바다 운항이 불가한 실정이며, 소형선박으로 승선인원 및 화물운송이 제한돼 최소 50톤 규모의 신조선으로 대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실제 행정선은 매년 5000여만원의 부분 수리비가 소요되고 있으며, 정기수리 때마다 1억6000만원의 추가 수리비가 들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20년 3개월이 지난 어업지도선 역시 65톤급 배지만 탑승정원은 19명에 불과하며, 낚시어선이나 어업어선의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는 실정으로 매년 1억 이상의 수리비가 소요되고 있다.
이처럼 도서지역 행정을 담당하는 관공선의 노후도가 심각하고 실용도가 떨어지지만 두 척을 새로 건조하기 위해서는 80억 이상의 예산이 소요돼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시는 관공선 2척을 새로 건조하기 위해서는 행정선 35억, 어업지도선 50억 등 모두 85억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관련 정부가 최근 현대중공업 사태 등 조선업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관공선 61척을 조기발주 하는 등 정부 지원과 연계할 수 있도록 정치권이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군산시 관계자는 “오래되고 낙후돼 잦은 고장이 일고 성능 또한 크게 떨어지다 보니 유지관리비가 계속해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라며 “기상이 나쁘면 어청도 등 먼 바다 운항은 사실상 힘든 상태로 현대화 된 대체 관공선이 필요한 실정”이라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