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1일 전주 전라북도문학관 대강당
소설낭독회·‘백정의 삶’ 문학강연도
전북소설가협회(회장 정영신)는 다음 달 1일 오후 4시 전주 전라북도문학관 대강당에서 <소설전북> 22호 출판기념회와 제7회 소설 낭독회, 윤영근 소설가의 ‘잊혀진 문화 챙겨 볼 이야기 2 역사로 짚어 본 백정들의 삶’ 문학강연을 개최한다. 소설전북>
<소설전북> 22호에는 정영신 회장의 머리글 ‘소설가, 이 얼마나 축복 받은 삶인가’에 이어 제7회 전북소설문학상 수상작인 윤영근 소설가의 작품 ‘본동댁’이 실려 있고, 최정주 작가의 인물소설 ‘동편제와 윤영근’이 게재됐다. 또, 2018년 한국-몽골 소설선집 작품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김한창 작가의 ‘한국과 몽골의 소설문학’이라는 평론도 실려 있다. 소설전북>
정영신 회장은 머리글을 통해 ‘소설이라는 문학 장르와 소설가라는 이름이 얼마나 귀하고 아름다운지, 새삼 찬사를 보내고 있으며, 또한 향토작가로서 이처럼 멋지고 신명나는 풍류의 고장 전북을 고향으로 두고 소설이라는 꽃을 살아가는 내내 피워낼 수 있는 소설가라는 삶이 얼마나 축복받은 삶인지 새삼 반추해보는 시간을 갖게 했다’고 소회를 밝혔다.
소설이라는 문학장르에 대해서는 ‘21세기 IT시대에 조금은 소외된 것 같지만 오히려 다양한 분야의 영상매체에서 스토리텔링화된 감성 콘텐츠로 재구성돼 다시 그 빛을 발할 것이며, IT시대의 정보의 바다에서 다양한 내용이 소설화되고 원 소스 멀티 유즈로 융합되어 더 많은 사랑을 받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날 윤영근 소설가는 ‘장타령과 동냥아치’에 이어 백정의 딸로 태어나서 정승 부인까지 오른 일화 등 백정들의 삶에 타령을 곁들인 문학 강연을 펼칠 예정이다.
<소설전북> 22호에는 김명희, 노령, 박은주, 박이선, 박종식, 선산곡, 오상근, 이은정, 정영신, 한정원 회원의 소설도 실려 있다. 소설전북>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