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기준 26만 7612명, 전달보다 186명 감소
시 정책 실효성 의문 …과감한 인구대책 필요
새해 들어서도 군산시 인구에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
군산시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군산지역 주민등록상 인구는 총 26만 7612명(남성 13만 5263명·여성 13만 2349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달 26만 7798명 보다 186명이 줄어든 것으로, 올해에만 총 247명이 감소했다.
특히 군산시 인구는 지난해 10월부터 두 자릿수 감소세를 보이다가 다시 세 자릿수로 늘어나면서 우려를 낳고 있다.
군산시 인구는 지난 2013년 27만 8562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줄곧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 상황이다.
당시 새만금 개발 호재와 현대중공업·두산 인프라코어 등 대기업 유치 등이 맞물려 인구가 급증했다.
그러나 경기 침체 등으로 인구가 하락세를 타기 시작했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중단과 한국지엠 군산공장이 폐쇄되면서 근로자의 ‘탈(脫) 군산’ 현상이 발생했다.
현재는 기대를 모았던 30만명은 고사하고 마지노선으로 여겼던 27만명 선도 무너진 상태다.
군산시 인구가 앞으로도 지금과 같은 감소세가 계속된다면 3~4년 뒤에 26만명도 붕괴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군산시 인구는 지난 2017년 2554명, 2018년 2352명, 2019년 2514명, 지난해 2272명 등 해마다 2200명 이상 줄어들었다.
군산시 인구가 반등에 성공하지 않는 한 오는 2024년 말쯤에 26만명 선이 깨진다는 계산이 나온다.
시가 좀 더 위기의식을 갖고 파격적인 인구증가 대책을 찾아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물론 시도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해 노력을 안 하는 것은 아니다.
시는 인구정책계를 신설하고 인구정책기본조례 제정을 비롯해 군산형 인구정책 아이디어 공모, 인구정책 시민토론회 등 다양한 인구증가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군산형 인구정책 T/F팀’을 구성하고 이에 대한 릴레이 간담회도 진행하고 있다.
그럼에도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 실효성 없는 정책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시민 김모 씨(45) “군산시 인구정책을 보면 형식적이거나 시민들의 체감도 떨어진다”며 “정확한 인구 감소 원인 분석과 함께 실질적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군산의 경우 직업 때문에 전출한 사람들이 많은 만큼 적극적인 기업 유치 등을 통한 일자리 창출은 물론 출산율 증가를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군산시의회 배형원 시의원은 “군산시의 인구 대책은 특별함이 없을 뿐더러 기존에 하는 시책 중에 최소한의 일부만 조정하고 가치만 부여한 정도에 불과하다”며 “과감한 인구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