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운송해야 하나 야적장 조성계획만 추진
물류비용부담 가중, ‘비효율적’ 비판 고개
"부두없이 야적장만 조성하면 뭐하나"
서해안 해상풍력발전단지 건설추진계획을 뒷받침하기 위해 군산항 7부두에 야적장의 조성과 동시에 중량물부두가 건설돼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준설토 투기가 완료된 군산항 7부두에 현재 야적장 조성계획만 들어서 있을 뿐 중량물을 해상으로 운송할 부두 건설계획은 세워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도내 해상풍력발전단지 건설계획은 총 8.67GW 규모로 서남권 2.4GW, 새만금 0.1GW, 어청도 2GW, 고군산 0.1GW, 고창 0.07GW, EEZ 4GW이다.
이같은 건설계획을 지원하고 현재 진행중인 서남권 해상풍력단지 2.4GW의 적기 추진을 위해서는 해상풍력기자재의 해상운송을 위한 중량물 부두 구축의 필요성이 높다.
그러나 군산항에는 총 사업비 440억원을 들여 7부두 준설토 투기장 40만㎡(12만여평)을 야적장으로 조성한다는 계획만 추진되고 있고 중량물 부두건설계획은 없는 상태다.
군산해수청은 오는 2024년까지 야적장을 조성키 위해 올해 17억원으로 기본및 실시설계를 연말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이를 두고 ’야적장에서 해상풍력 기자재 등 중량물을 조립하고 야적한다고 해도 결국 해상운송을 해야 하는데 부두가 건설되지 않는다는 것은 비효율적이다’는 관련 업계의 비판이 고개를 들고 있다.
부두가 건설되지 않으면 중량물의 해상운송이 불가능한데다 수출까지 구상하고 있는 관련 업체들이 물류비용부담을 우려, 타지역으로 이전할 가능성이 높다.
관련업계및 항만관계자들은 "중량물 부두가 건설될 경우 서해안 해상풍력발전단지의 건설계획을 지원하고 특화 항만의 역할을 통해 관련기업의 도내 집적화 등 풍력산업의 활성화로 지역경제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야적장 조성과 함께 적정 규모의 중량물 부두건설을 촉구하고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