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과 청소년정책포럼 공동개최
완주군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과 공동으로 지난 14일 군청 대회의실에서 ‘인구소멸위기, 지역청소년정책 전환방안 포럼’을 열어 인구 소멸 위기 속 청소년 정책 수립 방향을 모색했다.
이날 포럼 기조강연에서 양병찬 교수(공주대학교)는 ‘왜 지역 중심의 청소년정책이 중요한가?’ 주제 발표에서 지역특성을 반영한 청소년정책 수립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어 한일장신대 김웅수교수는 ‘지역중심의 청소년정책 추진방식 전환 및 과제’ 발표에서 지역중심에 바텀-업 방식의 청소년정책 전략수립, 전달체계의 패러다임의 변화, 청소년정책 추진부서의 권한강화 및 네트워킹의 필요성을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장종택 교장(고산고)은 ‘완주군 지역공동체 기반 청소년활동 협력사례 및 발전방향’을, 열린마을 농촌유학센터 임진희 센터장은 ‘농촌유학의 활성화로 지역과 학교살리기 사례’를 발표했다.
이날 2부 토론에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최인재 박사의 사회로 고산향교육공동체 이근석 공동대표, 문화예술협동조합 씨앗 김주영 대표, 완주군청 교육아동복지과 유지숙 과장, 완주군청소년문화의집 최정선 관장이 토론에 참여하였다.
오해섭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창의혁신연구실장은 “완주군의 청소년정책 추진사례는 인구가 감소하는 지역에서 매우 큰 의미를 가진다”며 “아동·청소년의 참여가 일상화되는 아동친화도시 정책과 자발적인 지역기반 교육공동체 등 완주의 청소년정책 사례가 전국으로 확산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유희태 완주군수는 “아동·청소년 인구가 점차 감소하는 지역에서 청소년정책 전환방안 포럼은 완주군에 꼭 필요한 숙고의 장이었다”며 “포럼에서 논의된 안건들을 검토해 정책으로 입안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