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익산시, 2035년 미래 청사진 최종 확정

신성장·특화·문화산업 등 3대 발전축 성장 
법정 최상위 공간계획⋯전북도 최종 승인
1도심, 2부도심, 4지역중심 체계로 육성

image
익산시  미래 청사진 ‘2035년 익산 도시기본계획(안)’’ /사진=익산시

익산시 2035년 미래 청사진이 최종 확정됐다.

신성장·특화·문화산업 등 3대 발전축을 바탕으로 역사문화와 미래가 함께하는 행복도시 익산으로 성장한다는게 익산시의 미래 청사진이다.

익산시는 13일 도시 미래와 장기적 발전방안을 담은 미래 청사진 '2035년 익산 도시기본계획(안)'을 수립해 확정·발표했다.

'2035년 익산 도시기본계획(안)'은 도시미래상을 보여주는 법정 최상위 공간계획으로 전북도로부터 이미 최종 승인까지 받았다.

이번 도시기본계획(안)에 따르면 2035년 목표 인구는 각종 개발사업으로 유입될 인구를 고려해 31만 1000명으로 정했다.

목표 연도의 토지 수요를 추정해 전체 행정구역 507.060㎢ 가운데 도시발전에 대비한 개발 가용지 19.943㎢는 시가화예정용지로, 시가화가 형성된 기존 개발지 37.149㎢는 시기화용지로, 나머지 449.968㎢는 보전용지로 토지이용계획을 각각 확정했다.

따라서 시는 이같은 미래 청사진 도시기본계획을 토대로 생활권별 중심지 기능 강화를 통한 지역 균형 발전과 익산을 중심으로 주변 도시와의 상생발전 및 유기적 연계체계를 구축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우선, 중심지 체계와 생활권별 설정이 연계되는 도심기능 통합운영 등을 고려해 기존 1도심 1부도심에서 북부지역 중심 행정·주거 기능 함열읍과 산업·물류·관광 기능 금마·왕궁면을 새로운 부도심으로 1도심 2부도심 4지역중심 체계로 육성한다.

특히 익산을 중심으로 주변 도시와의 상생발전을 위해 국가식품클러스터와 새만금을 연계하는 동서간 신성장산업 발전축, 익산 제3∙4 일반산업단지 중심의 특화산업 발전축, 왕궁~금강 중심의 문화산업 발전축을 3대 축으로 연계 체계를 구축한다.

생활권별로는 국가식품클러스터 2단계, KTX 익산역 광역환승센터 구축, 만경강 수변도시 조성사업 등을 중심으로 남부 중생활권 공간구조를 개편한다.

그린바이오 미래 농생명 혁신파크 조성, 동물헬스클러스터 집적화, 산업단지 확장 등은 북부 중생활권으로 추진전략 사업을 달성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주요 교통계획은 서부내륙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국가식품클러스터 산업선, 오산면 신지리~영만리 국도대체우회도로 계획 및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지구 계획 등을 반영한다.

덧붙여 익산역을 중심으로 사통팔달 교통인프라 구축과 시 내부외부 순환도로망 구축도 계획돼 있다.

정헌율 익산시장은 “이번 2035년 익산 도시기본계획(안) 승인으로 도시여건 변화에 부응하는 방안을 마련했다”며 “생활권별 계획된 추진전략 수립을 통해 행복도시 익산으로 거듭날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에 승인된 익산시 미래 청사진 도시기본계획은 이달 중에 30일간 시 홈페이지에 열람·공고할 예정이다.

 

엄철호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사건·사고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7명 매몰 추정"

정치일반전북도, 관광 슬로건 공모 ‘HEY! 전북여행’ 최우수상 선정

영화·연극제4회 민족민주전주영화제 14일 개막

완주‘모악산 웰니스 축제’서 힐링‧낭만을

장수장수군, 홍보대사 최재명 참여 홍보송 ‘장수좋다’ 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