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김제 지평선축제 볼거리·즐길거리 업그레이드

1일 김제 벽골제에서 개막한 제10회 지평선 축제에서 농악대를 따라 소달구지가 코스모스 길을 지나고 있다. (desk@jjan.kr)

'사람과 하늘과 땅의 어울림!' 제12회 김제지평선축제가 오는 10월 6일부터 10일까지 5일동안 벽골제 및 심포항·김제시내 곳곳에서 개최된다.

 

6년연속 대한민국 최우수관광축제에 빛나는 지평선축제는 올해의 경우 대한민국 대표축제로의 선정을 노리며 더욱 알차고 다양한 볼거리·즐길거리로 관광객을 맞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다.

 

올 축제는 지역 전통문화자원을 바탕으로 축제의 주제성을 반영한 특색있는 참여·체험프로그램 개발에 중점을 두고 관광객이 축제속으로 몰입하는, 타 축제와 차별화 된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거리, 참신한 내용으로 규모화와 완성도를 추구한 대동 어울림으로 구성된다.

 

총 77개 프로그램으로 펼쳐지는 올 지평선축제는 세계화를 지향하고 지역문화와 주민소득 창출에 기여하면서 가장 한국적인 미(美)를 최대한 부각시킨 체험 프로그램 강화와 기존 프로그램에 대한 과감한 변화를 줘 색다른 이미지를 전달할 계획이다.

 

정희운 지평선축제제전위원장은 "축제와 지역 관광자원을 연계한 다양한 농경문화체험 프로그램 개발 및 체류형 야간 프로그램 확대, 벽골제 행사장 인프라 구축으로 관광객 눈높이에 맞춘 전통문화예술행사, 지평선 쌀 테마행사, 기획 전시행사 등 축제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 지역 고유의 특성을 살린 특색 있는 기획과 짜임새 있는 연출로 이번 축제를 구성했다"고 강조했다.

 

▲신선해진 2010 이슈 신규 프로그램

 

올해 신규 프로그램들은 6년 연속 대한민국 최우수축제로 글로벌 명품축제를 위한 대형 이슈 프로그램으로, '도전 1233! 가장 긴 인절미 만들기', '비전 2010! 우정·사랑·화합·희망 연날리기'를 통해 색다른 기록 도전과 우수한 지평선 쌀을 이용한 '징게맹게 막걸리 체험 및 시음', '지평선에 타오르는 불의 눈', '옛날 옛적 벼고을 생활체험' 등을 신설했다.

 

▲새롭게 단장된 벽골제 갖가지 체험시설·편의시설 확충

 

벽골제 행사장은 지난해 관광지 지정과 함께 예년과는 또 다른 분위기의 행사장 연출을 기획, 8개의 테마존을 설정하여 축제를 찾는 관광객들이 아련한 향수와 훈훈한 인정을 느낄 수 있으면서도 편안한 체험의 장 운영을 위해 기반시설을 확충했다.

 

▲소중한 내고장 문화유산이 축제속으로 들어왔다

 

벽골제 전통 설화 쌍룡의 스토리를 테마로 한 벽골제 전설 대동 쌍룡놀이는 기동성과 예술성을 강화한 쌍룡을 신규로 제작, 화려함과 웅장함속에 관객이 함께 이야기속으로 들어가고, 풍년을 기원하며 입석마을 주민들이 주축이 된 김제의 농경문화와 자원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벼고을 퍼레이드 대동 입석줄다리기', 벽골제 제방에서 펼쳐지는 벽골제를 밝히는 '쌍룡횃불놀이'는 시연자와 관광객 구분없이 모두 직접 스토리를 이끌어 나가 온 행사장을 들썩들썩 하도록 하는 재미난 한바탕 퍼포먼스를 연출한다.

 

▲도전 1233! 가장 긴 인절미 만들기

 

지평선축제 12주년과 새만금 33km의 의미를 담아 벽골제방에 관광객들이 같은 시간 다 함께 모여 지평선의 우수한 쌀을 이용, 떡메치기와 인절미 만들기 도전 프로그램인 '도전 1233! 가장 긴 인절미 만들기' 프로그램을 통해 지평선축제의 성공 기원과 꿈· 희망의 새만금 중심도시 김제를 전 세계에 알리는 장관을 연출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녹색체험 여기 다 모였네, 온 가족이 함께해요 ▲재미와 교훈을 한번에 ▲축제, 사이버로 즐긴다 ▲세계인과 함께 하는 지평선축제 ▲축제, 지역경제 발전과 함께 ▲날마다 테마가 있는 가을밤 음악여행 ▲어르신이 흥겨운 한마당 ▲착한 가격, 먹을거리는 푸짐! 등을 주제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관광객들을 맞이한다.

 

이건식 김제시장은 "6년연속 대한민국 최우수 문화관광축제에 빛나는 지평선축제는 이제 세계적인 축제로의 비상을 위해 날개짓을 하고 있다"면서 "대한민국 국민 모두 마음속의 고향인 올 지평선축제를 꼭 한번 찾아 일상을 떠난 고향내음 및 흙냄새, 사람냄새를 맡는 일탈의 기쁨을 만끽해보길 제안한다"고 말했다.

 

 

최대우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2035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50∼60%' 또는 '53∼60%'로

군산군산시, 체납차량 야간 영치 단속 실시···고질·상습 체납 17대 적발

군산전북에서 가장 오래된 콘크리트 다리 ‘새창이다리’ 존폐기로

전시·공연부안여성작가 13명, 30일까지 제9회 단미회展 ‘Art Memory’

부안김양원 부안발전포럼 대표, 22일 「통쾌한 반란,함께 만드는 내일」 출판기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