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이하 탄소산단) 예비타당성 조사의 벽을 넘지 못한 전주시가 올해 재도전에 나섰다.
전주시는 팔복동과 동산동, 고랑동 일대에 조성할 탄소산단의 일부 용지를 축소하거나 삭제하고 사업비를 줄이는 한편 산단 입주 업종을 추가하는 등 사업을 대폭 변경해 지난달 31일 기획재정부에 예타를 재신청했다고 2일 밝혔다.
매년 상반기와 하반기 2차례로 나뉘어 진행되는 기재부의 예타 신청 심의를 통과하면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예비타당성 조사로 이어진다.
전주 탄소산단은 지난해 예타조사결과 종합평가(AHP) 점수가 기준치인 0.5를 다소 밑도는 0.446을 기록하고, 경제성을 따지는 비용편익(B/C) 분석에서도 기준치인 1.0에 약간 못미치는 0.97로 평가되면서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지 못했다.
이에따라 전주시는 예타 점수를 높이기 위해 사업규모 부지를 대폭 줄였다.
산단 면적을 기존 84만3000여㎡에서 63만8000여㎡로 20만㎡ 이상으로 축소하면서 사업비도 2267억원에서 1754억원으로 줄었다.
세부 용지별로는 기존 주거용지 부지가 삭제되고 산업과 상업, 지원, 공공시설 용지 면적은 소폭 줄었다.
유치업종도 탄소섬유 생산 가공 분야에서 탄소소재 복합 집적화로 조정돼 코크스와 연탄, 석유정제품 제조업, 고무제품,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 등이 추가됐다.
전주시는 신청서를 제출한 만큼 예타 대상 사업 확정과 조사에 적극 대응해 2번의 실패를 하지 않겠다는 각오를 밝히고 있다.
전주시 관계자는 “이번 조정안에 대해 개발주체인 LH 측도 상당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며 “사업이 1년 정도 늦어지긴 했지만 이번 예타가 통과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