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나무 재배특구 8년간 방치 / 전문가 "생육환경 불량" 지적
7~8년 전 자체 생산한 닥으로 고품질 한지를 만들겠다며 시작된 전주시의 한지산업화 정책이 겉돌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야심차게 추진한 전주 닥나무 재배 특구(단지) 2곳 가운데 한 곳에는 닥나무를 심었지만 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고, 다른 한 곳은 특구 지정 이후 아예 닥나무가 심어지지도 않았다.
닥나무 재배 특구가 사실상 ‘방치’되면서 무용지물화 됐다는 지적이다.
전주시는 특구를 해제하고 닥나무 농가를 육성하는 쪽으로 정책 방향을 수정했지만 예산 낭비라는 지적은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1일 전주시에 따르면 지난 2009년과 2010년 전주시 용복동과 상림동 일대 시유지 4만1200여㎡ 부지에 닥나무 재배 특구를 지정하고 상림동에 1만2000여주의 닥나무를 심었다.
한지의 원료인 닥을 직접 생산해 고품질의 전주한지를 생산하고 세계화한다는 취지였다.
그러나 전주시가 지난 4월 한지업체 관계자와 산림환경연구소, 협동조합 등 전문가들에게 상림동 단지가 닥나무 재배지로 적정한지 여부에 대한 의견을 수렴한 결과 5명은 ‘부적합’판정을 내렸고, 1명만‘적합’하다고 판정했다.
전문가들은 저수지 인근에 조성돼 배수상태가 좋지 않은 상림동 단지는 토지가 습하고 우기에는 습지화되는 등 닥나무를 키우기에는 생육환경이 불량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실제 이 상림동 단지는 전주대 학생들의 실습 장소로 쓰였을 뿐 제품용으로 생산된 닥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용복동 단지는 닥나무 재배 특구로 지정만 했을 뿐 실제 닥나무를 심지는 않았고 현재는 소나무와 잡목이 우거져 닥나무를 심을 수 없는 환경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이들 두 곳의 단지 모두 조성이후 닥나무 재배에 적합한 환경인지 적정성 검토가 단 한 번도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돼 사실상 전주시가 특구만 조성하거나 지정해 놓고 방치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전주시는 2005년과 2006년에도 진안 등지에 10억원이 넘는 닥나무 단지 조성을 했다가 수확량이 전무해 예산낭비라는 지적을 받은 바 있다.
전주시는 상황이 이렇게 되자 특구 해제를 추진하는 한편, 닥나무 재배농가를 육성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올해 6농가 1만9400여㎡ 정도를 육성하고 농업기술센터를 통한 교육과 기술지도, 재정 지원 등을 한다는 방침이다.
전주시 관계자는 “기존 닥나무 재배단지 특구는 사실상 현실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됐다”며 “농가를 육성해 농가 소득을 올리고 시는 공공 수매를 하는 형태로 추진한다면 고품질의 닥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