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1100억원대 전주종합경기장 대체경기장 건립사업, 시 재정 문제 없나

매년 세입 200억원 이상 증가, 지방채 지난해 말 기준 채무비율 6.6% 재정건정성 확보
여기에 균형발전특별회계, 체육진흥기금 등 국고 보조 유치하면 사업 순탄 기대

전주종합경기장 대체경기 시설 조감도.
전주종합경기장 대체경기 시설 조감도.

전주시의 전주종합경기장 개발과 대체경기장 건립사업을 놓고 일부에서 시의 재정 운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순수 전주시 예산으로 1100억 원대 2개의 경기장을 짓는 데 재정부담이 없겠느냐는 것인데, 전주시는 시 재정 여건이 충분해 사업을 원활히 추진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7일 전주시에 따르면 행정안전부는 최근 2019년 제2차 지방재정중앙투자심사위원회를 열고 전주시의 종합경기장 대체경기장 사업을 조건부 통과시켰다.

전주시 장동 월드컵경기장 인근에 조성되는 육상경기장은 연면적 1만1609㎡에 1만5000석, 야구장은 연면적 1만37㎡에 8000석 규모로 지어진다. 총사업비는 1147억 원(시비 807억 원, 지방채 340억 원)이다.

그러나 전주시는 실제 총사업비를 900억 원 수준으로 잡고 있다. 나머지 240억 원은 월드컵경기장 주변 시 소유 부지 3만4000㎡를 포함한 액수이기 때문이다.

사업도 2023년까지 5년에 걸쳐 이뤄지면서 한 해 시가 부담하는 금액은 평균 200억 원대로 추산되고 있다.

실제 올해 100억 원에 이어 2020년 220억 원, 2021년 240억 원 2022년 190억 원, 2023년 150억 원이 투입된다.

시는 최근 5년간 자체 세입 결산 결과, 매년 200억 원 이상 세입이 증가하면서 이 사업비를 충당하기에 무리가 없다는 입장이다.

지방채 발행에 대한 우려 역시 전주시의 지난해말 채무비율이 6.6%로 대폭 감소해 재정 건전성이 확보됐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시는 여기에 정부의 세수개편에 따라 소비세가 11%에서 21%로 인상돼 수입이 늘어날 전망으로, 자체 재정사업 진행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시는 향후 있을 재정부담을 덜기 위해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와 체육진흥기금 등 관련 국고보조사업 예산에 대한 유치도 병행할 예정이다.

전주시 관계자는 “시의 예산과 재정 운용을 고려해 사업비와 공기를 정했기 때문에 사업추진에는 문제가 없다”며 “지난 2016년 행정안전부 산하 지방행정연구원에서 사업 진행 타당성이 문제가 없다는 결론도 있다”고 설명했다.

백세종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만평[전북만평-정윤성] “우리가 황교안이다”…윤어게인

정읍전북과학대학교 제8대 김상희 총장, 지역이 필요로 하는 대학으로 지역사회와 상생발전 앞장

정치일반강훈식 비서실장 발언 두고…‘새만금 공항 저격론’ 무성

정치일반[엔비디아 GTC 현장을 가다] ③ AI 이후의 세계 “지금 태어나는 세대, AI 없는 세상 경험하지 못할 것”

자치·의회김슬지 전북도의원 “중앙부처·산하기관 파견인사, 기준과 절차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