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장 관리선 사고 벌써 잊었나.”
지난달 24일 1명이 숨지고, 2명이 실종된 군산 앞바다 어선 해양사고 이후에도 안전불감증이 여전히 만연하고 있다.
수산업 종사자와 낚시객들의 안전의식이 부족한 데다, 해당기관의 관리감독마저 허술해 또 다시 유사한 사고가 되풀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지난 1일 새만금과 비응도항 일대에서 작은 배에 몸을 실어 낚시하는 여러 사람들이 눈에 띄었지만 하나같이 기본 안전장치인 구명조끼 등은 착용하지 않았다.
특히 어떤 배는 1명이 겨우 탈 수 있는 공간에 3명이 무리하게 승선, 배의 홀수가 수면에 맞닿을 만큼 가라앉은 상태에서 아슬아슬하게 이동하는 모습도 목격됐다.
높은 파고나 바람이 불면 금세 뒤집어 질 것처럼 위험해 보였지만 몇 시간 동안 누구하나 통제하는 사람은 없었다.
하루 수 십 척의 관리선들이 이용하는 김 양식장 현장도 마찬가지.
사고의 여파가 가시지 않은 분위기지만 작업자들이 구명조끼를 입기는커녕 정원 초과 등 여전히 안전의식이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식장 주변에서 일하는 선원들의 경우, 작업에 방해가 된다는 이유로 구명조끼를 거의 입지 않은 채 일하고 있는 실정이다.
양식장 관리선 전복 사고가 구명조끼 미착용 및 승선 초과 등 총체적 안전불감증이 빚어낸 인재라는 지적 속에 해양사고의 예방과 사고 이후 조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겨울철 안전사고 위험이 높은 상황임에도 이를 관리·감독하는기관들은 오히려 방관하는 듯 한 인상도 주고 있어 비난을 받고 있다.
새만금 일대를 자주 오가는 김모 씨(45)는 “안전장치를 갖추지 않고 무리하게 작업하거나 낚시를 하는 사람들을 자주 보지만 이에 대한 단속은 거의 못 봤다”고 꼬집었다.
무엇보다 지자체는 물론 해경 역시, 사고가 나면 그때서야 부랴부랴 안전점검에 나서거나 한 두 차례 실시되는 안전교육 및 단속이 전부여서 사고에 대해 안일하게 대처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세월호 참사 이후 해상에서의 안전이 강조되고 있지만, 일선 현장에서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가 끊이지 않고 있는 만큼 관계기관의 철저한 안전대책 및 실효성 있는 단속 등이 요구된다.
시민들은 “사고가 날 때마다 떠들썩하다 얼마 지나면 잊어버리는 망각증상이 더 이상 없어야 한다”면서 “바다 이용자들의 안전의식과 함께 반복되는 어선 사고 관리대책이 수립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24일 오후 11시 9분께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인근 해상에서 김 양식장 관리선이 전복됐으며, 배에 탄 러시아인 선원 2명은 구조됐지만 한국인 선원 1명이 숨지고, 2명은 실종된 상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