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부안] 겉도는 퇴비증산정책

양질의 쌀 생산을 위해 군민들이 총력을 다해 만든 퇴비더미가 방치되면서 주변 경관을 훼손하고 환경마저 오염시키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퇴비증산정책이 겉돌고 있다.

 

부안군은 지난해 화학비료의 과다시용으로 인한 토양 및 수질오염예방, 지력증진을 위한 땅심높이기와 양질의 쌀생산을 위해 대대적인 퇴비쌓기를 전개해 10만여t의 퇴비를 생산했다.

 

특히, 퇴비증산 실적 전국 1위 달성을 위해 농가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한편, 2개의 시범마을을 별도 선정하고 자체 시상식을 갖는등 퇴비생산에 총력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지난해 제방 풀베기와 왕겨, 축산분뇨등을 혼합해 쌓아놓은 퇴비더미는 잡초만 무성한채 썩지 않고 방치돼 주변경관을 크게 해치고 있다.

 

게다가 들쥐등의 서식처로 전락한 퇴비더미는 빗물과 섞인 침출수를 인근농경지로 유입시켜 농사에 막대한 차질을 초래할뿐 아니라 심한 악취를 유발시키는 한편, 토양오염을 가중시키는 주범으로 전락하고 있다.

 

농민 김모씨(42·행안면)는 “군은 지난해 퇴비증산실적에 급급한 나머지 관계부서직원등이 해당농가를 상대로 퇴비생산을 독려해 무난히 목표달성을 이뤘다”면서 “축분등과 섞어만든 부패되지않은 퇴비더미는 전북도의 시상과 함께 방치돼 애물단지로 전락하는등 오히려 환경오염을 촉진시키고 있다”며 “실적위주의 전시성 행정보다는 효율적인 영농정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또, 부안읍 김모씨(53·서외리)도 군의 퇴비증산정책에 대해 “농로나 논두렁의 풀베기로 농경지주변 정리는 물론 유기물이 섞인 퇴비 생산으로 지력을 증진시킨다는 것은 납득이 가지만 과거 60∼70년대나 있을법한 실적위주의 행정이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는 것은 도저히 용납할수 없는 처사다”며 “진정한 공복의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찬곤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사건·사고경찰, ‘전 주지 횡령 의혹’ 금산사 압수수색

정치일반‘이춘석 빈 자리’ 민주당 익산갑 위원장 누가 될까

경제일반"전북 농수축산물 다 모였다"… 도농 상생 한마당 '신토불이 대잔치' 개막

완주‘10만490명’ 완주군, 정읍시 인구 바짝 추격

익산정헌율 익산시장 “시민의 행복이 도시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