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진댐 축조와 관련 수몰피해민들의 대변기구인 지역발전협의회(회장 김정남)가 회원들간의 심한 이견차로 좌초 위기를 맞고 있다.
이는 건교부의 섬진댐운영 정상화 결정을 앞두고 일부 회원들이 문제를 제기, 7일 운암면 수몰 직접피해민 연대회의(대표 최오성)를 결성한 데서 비롯됐다.
연대회의는 이날 오전 10시 수몰피해민 1백여명을 운암면사무소 회의실로 소집한 뒤 지역발전협의회의 부족한 활동에 대해 집중 토론을 벌였다.
연대회의 최기섭 사무국장은"현 상황에서 지역발전협의회의 이념 및 진로가 직접피해민들의 생각과 달라 권익보호를 위해 연대회의를 창립케 됐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수몰민에 대한 건교부의 피해보상이 특별법 제정 등의 이유로 지연되고 있다”며"우선적으로 침수가옥 등 직접피해민에 대한 보상이 실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최기주 운암면장은"수년에 걸쳐 지금까지 순조롭게 진행됐고 건교부에서도 오는 8월까지 최종 대책을 결정키로 했다”고 진행상황을 밝혔다.
그는 또"지난달에 임실군과 건교부, 수자원공사 대표들이 한데 모여 홍수선내 모든 가옥에 대한 이주지침이 확정된 만큼 최종 발표를 기다려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김정남 협의회장은"연대회의가 주장한 직접피해 보상안은 나머지 간접피해민들에 크게 불리해질 우려가 있다”고 강력히 맞섰다.
그는 또"건교부의 대책안이 나오면 그때 대처해도 늦지 않은데 굳이 한달여를 앞둔 현 시점에서 문제를 제기한 저의를 모르겠다”고 푸념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 참석한 일부 주민들은"수몰피해민들이 한목소리를 내기 위해 3개 단체를 통합했는데 불과 4개월도 못가서 또다시 해체됐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