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안지역 하루 많게는 20여건씩 발생 업체 곤혹
진안지역에서 소중한 정보를 전하는 아침 신문들이 일부 배달되자마자 없어지거나 심지어 뭉텅이로 도난당하는 사례가 최근들어 급증, 경찰의 철저한 수사가 촉구된다.
신문 1부 값은 400~700원선으로, 금액으로 치면 그리 큰 (재산)피해는 아니지만 알권리를 침해당하는 독자들이 그 피해를 고스란히 당하고 있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현재 진안 관내에 배부되는 유료 조간 신문은 스포츠지를 포함한 10여개의 중앙지(이하 월 구독료 12000~15000원)를 비롯해 지방지 12개(8000~1만원), 로컬 주간지 2개(5000원) 등 최소 25개가량.
이들 신문 가운데 우편배달에 의존하는 로컬 주간지를 제외한 나머지 중앙·지방 일간지는 김모씨가 운영하는 진안신문유통원이 1일 17개사 물량을, 또 다른업체에서 5개사 물량을 독자들에게 배달하고 있다.
이들 2명이 1일 1000여부의 종이신문을 진안읍내에 직배로 돌리는 데 걸리는 시간은 대략 5시간. 새벽 3시부터 오전 8시까지다. 관공서와 공동주택의 경우 사물함에, 개인주택은 대문 앞에 꽂아놓는 게 보편화돼 있다.
그러나 문제는 발품을 팔아 애써 배달된 일부 신문들이 정작 독자들에게 전해지지않고 있다는 점이다. 배달업자들이 덤터기 를 쓰는 이러한 일들이 요즘들어 부쩍늘어나고 있다는 게 관련업계의 전언이다.
이들에 따르면 배달된 신문 가운데 없어지는 신문이 많게는 하루에 20여건 이상 발생되고 있고, 어떤 때는 다발째로 사라지는 경우도 있다. 접수되지않은 도난건까지 합치면 그 수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진안군청 H과 H계에 배달된 지난 2·3일자 신문 40여부가 뭉텅이로 사라져 이를 배달한 업체들이 곤욕을 치러야 했다. 종전에도 모 농협에 배달된 신문 수십 다발이 사라진 바 있다.
사정이 이렇자, 이들 배달업체는 진안경찰에 수사의뢰까지 생각하고 있고, 일부 애독자는 아파트 현관 입구에 '제발 신문좀 가져가지 말라'는 애원성 글까지 남기기에 이르렀다.
배달업자 L모씨는 "한때 뭉텅이로 훔친 신문을 공공장소에 가 파는 사람도 있었다"면서 "신문 도난사고는 재산피해를 넘어 소중한 정보를 얻고자하는 독자들의 알권리를 침해, 그냥 넘길 사안은 아니다"라고 전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