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옥정호 100년 장기 발전 전담팀 구성 시급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 불법·난개발 몸살 우려

▲ 임실 옥정호 전경. ·전북일보 자료사진

천혜의 비경을 지닌 옥정호가 상수원보호구역에서 해제됨에 따라 이를 효율적으로 개발키 위해서는 100년 후의 장기발전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무분별히 벌어지는 난개발을 사전에 방지하고 효율적 미래발전을 위해서는 정치권과 학계, 재계 등 사회 각 분야의 전담팀 구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옥정호는 일제 강점기부터 임실군에 각종 수난을 안겨 준 애환의 산유물이고 정부수립 이후에도 반복되는 아픔을 던져준 곳이다.

 

일제는 1928년 김제평야 등에서 식량을 수탈키 위한 방편으로 섬진강에 운암제를 건설했고 1940년 대에는 남한 최초의 수력발전소인 섬진제를 이곳에 건설했다.

 

또 2차대전 패망으로 중단된 현재의 섬진강댐은 우리 정부가 들어서면서 1965년에 완공됐고 최근에는 섬진강댐재개발사업이 진행중에 있다.

 

이 과정에서 임실군 운암면 등지의 주민들은 조상 대대로 가꿔온 집과 전답을 강제로 잃었으며 심지어 상수원보호구역 지정으로 어업과 관광, 식당업 등에 종사했던 주민들 마저 생계를 위해 전국 각지로 흩어졌다.

 

더욱이 상수원보호구역 지정은 임실군 6개 읍면에 걸쳐 각종 개발과 건설행위, 농·축산업 등이 제한된 바람에 연간 400억원의 경제적 손실도 가져왔다.

 

때문에 임실군과 주민들은 10여년 전부터 상수원보호구역 철폐를 강력히 주장해 왔고 지난 7일 전북도가 임실지역 해제를 선포하면서 결실을 맺었다.

 

문제는 상수원보호구역 해제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옥정호 일대가 수변지역 매립과 산림훼손 등 온갖 불법행위와 난개발로 몸살을 앓는 데다 부동산 투기의 온상으로 자리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임실군은 옥정호 관광을 위해 붕어섬 개발과 생태공원, 둘레길 조성 등 다각적인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이는 미시적 근시안적 대책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는 유럽이나 미주 등지의 경우 대규모 호수변에는 대·소형의 도시가 반드시 들어서고 있어 최소 수십년 후 운암면 일대에도 5만에서 10만명 정도의 소도시가 조성된다는 게 전문가의 주장이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도시학 관계자는“옥정호는 전북뿐만 아니라 국내 최대의 레저관광 보물창고”라며“100년후의 장기발전책과 각계의 전문가로 구성된 전담팀이 시급하다”진단했다.

박정우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국회·정당국회, 이 정부 첫 예산안 경제부처 심사 돌입…728조 놓고 여야 공방

정치일반지방선거 경선 시작도 안했는 데 ‘조기과열’···전북서 극심한 피로도

자치·의회전북도-캠코, 유휴 국유재산 자활사업 모델 부상

사회일반전북서 택시 기사 등 운전자 폭행 사건 꾸준

전주전주시 기업 유치 헛구호 그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