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아시아 문화심장터 조성, 전국 모범 재생사례 소개

전주 전통문화 중심 도시재생 사업 
국토부 ‘2020 대한민국 도시재생사업 30선’에 선정

전주시의 아시아 문화심장터 100만 평 프로젝트 등 도시재생 사업이 모범사례로 전국에 공유됐다.

시는 국토교통부가 전국의 도시재생사업 중 모범사례를 전국에 소개하기 위해 발간한 도시재생 사례집인 ‘2020 대한민국 도시재생사업 30선’에 전주시 ‘전통문화 중심 도시재생사업’이 선정, 소개됐다고 밝혔다.

이번 사례집은 정부가 도시재생 뉴딜사업 4년차를 맞아 전국의 도시재생 모범사례를 공유하기 위해 발간했다.

전주시의 도시재생사업의 경우 “많은 역사·문화자원을 바탕으로 균형적인 도시재생을 달성하고 아시아의 문화심장터로 도시의 역할을 재정의한다”고 소개됐다.

전주시 ‘전통문화 중심의 도시재생사업’은 아시아 문화심장터 100만 평 프로젝트의 핵심 사업이다. 올해까지 중앙동과 풍남동, 노송동 등 1.43㎢의 구도심 일원에 총사업비 190억원을 투자해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문화예술 거점으로 조성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시는 대표적으로 고물자골목에 오래된 건물을 매입해 지역 주민들을 위한 공유카페와 공유주방, 공동작업장 등 공유공간을 조성해 주민들과 함께 어울리는 다양한 활동들을 전개해왔다.

아울러 전통문화 중심의 도시재생을 비롯한 전주역세권 혁신성장 르네상스, 용머리 여의주마을, 서학동예술마을 등 4개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추진하며 남노송동 새뜰마을을 비롯한 4개의 새뜰마을 조성사업과 새롭게 추진 중인 다가동 도시재생 인정사업 등 총 1200억원 규모의 도시재생사업을 도시 곳곳에서 추진하고 있다.

신계숙 전주시 사회연대지원단장은 “현재 추진되고 있는 전주형 도시재생사업들이 모범적인 사례로 국토교통부와 타 지자체의 주목을 받고 있다”며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도시재생, 시민이 함께 가꾸는 도시재생, 삶과 도시를 변화시키는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진만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청년 떠난 전북에 50대가 돌아온다…50~64세 귀향세대 꾸준히 유입

오피니언[세무 상담] 비거주자의 주택 양도, 왜 1세대 1주택 비과세가 안 될까?

정치일반2036 올림픽 전북-서울 어깨동무, 8개 종목 서울에서

국회·정당민주당 전북도당 “정부, 지방공항 강화책 마련해야”

사람들[줌] 한정원 전북도 팀장, 보건복지부 ‘한의약 육성’ 평가 2년 연속 최우수상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