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지속가능발전협의회 ‘지속가능 도시교통활성화 포럼’ 개최
“BRT 전주 교통량 6만대 감축에 기여할 것 전북 교통체계 전환”
“ 도입 이후의 지속가능 생태교통 도시로의 비전을 만들어야”
-자전거, PM, 보행 등 생태교통 간 연계강화, 탄소중립 BRT 시민공론화 대비도 조언
전주 BRT(Bus Rapid Transit; 간선형급행버스)도입은 전주와 전북의 교통체계 개편과 온실가스 감축의 전환점이 되는 만큼 도입이후의 교통체계 개편도 고민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전주지속가능발전협의회는 지난 3일 오후 2시 전주도시혁신센터 1층 다울마당에서 ‘지속가능한 도시교통 활성화 포럼’을 개최했다.
LX한국국토정보공사와 국민연금공단, 한국기후·환경네트워크의 후원으로 열린 이날 포럼에는 이국 전주시의회 도시건설위원회 부위원장, 김원철 충남연구원 연구위원, 정선숙 시민행동21 사무처장, 김상범 전주시 버스노선팀장, 하갑주 생태교통협의회 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포럼은 전주 BRT의 도입과 부산시의 BRT 성공사례, 전주시의 미래교통에 대한 논의와 함께 자전거, PM 등 생태교통수단과 BRT 연계방안을 모색해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대중교통 도시로의 청사진을 그려보는 형태로 진행됐다.
포럼에서 장경욱 메밀인포매틱스 대표이사의 ‘이동수단 연계 서비스를 활용한 생태교통 도시 만들기’ 발제와 이원규 부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BRT 숙의과정 및 성공적인 시민공론화를 위한 사례’의 발표가 있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전주보다 앞서 BRT를 도입한 부산에서 2018년 BRT 설치를 두고 시민의 반대가 거세지자 공론화위원회를 구성, 시민여론을 적극 수렴해 공사 재개를 결정한 사례를 들었다.
그는 “부산은 충분한 시민공론화를 바탕으로 1단계 사업이 성공을 거둬 3단계까지 추진하고 있다”며 “단순히 BRT 추진 여부만 결정하는 것이 아닌 시민이 직접 BRT를 포함해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방안과 전반적인 정책방향을 제시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참가자 토론에서 전주생태교통협의회 하갑주 대표는 “전북도의 수송분야 온실가스 배출량은 34.14%, 전주시는 수송분야 온실가스 배출량이 40%를 차지하고 있어 우리지역 탄소중립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며 “전주시민이 인근 시군으로의 출퇴근하는 교통량이 하루 6만 대 이상으로, 시군간 자동차 통행수요를 줄일 수 있는 방안도입이 시급한 상황이다”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전주시의 BRT 도입은 이런 측면에서 전라북도 내 교통체계 개편과 수송분야 온실가스 감축에 새로운 전기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고 말했다.
또 발표자들과 토론자들은 시군간 통행비용지원정책, S-Mass 이용자 앱 개발, 알뜰카드 마일리지 지원사업 등 교통수단간 연계강화를 통해 BRT 도입 이후의 지속가능 생태교통 도시로의 비전을 만들어야 한다는데 한 목소리를 냈다.
토론자로 나선 시민행동21 정선숙 사무처장은 “BRT도입은 교통시스템의 큰 변화를 가져오는 혁신적 사업으로 설계단계부터 시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는 절차를 진행하자”는 의견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전주시가 유럽과 미국의 선진도시들처럼 스마트 교통도시로 전환해 개인 승용차 운전시간을 단축시키고 자동차 이용 비용을 절감시켜 시민의 삶의 질을 더 높이는 새로운 교통 패러다임을 빠르게 받아들일 것을 주장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