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착한가격업소 47곳 업소당 연간 90만원 상당 물품 지원
현금성 지원은 어려워…업종별로 필요한 물품 수요조사후 지급
올해부터 국비 지원…시, 내년엔 착한가격 메뉴 간판 지원 계획
계속되는 고물가의 어려움 속 인건비·재료비 증가에도 저렴한 가격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착한가격업소'에 대한 실질적인 행정 지원책 확대 검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전주시를 비롯한 전북지역, 그리고 타지역 대부분 지자체가 쓰레기봉투나 주방용품 지원 등만 하고 있는 실정인데, 지정업소들은 고물가 시기에 지역 물가 안정을 위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만큼 공공요금 지원이나 업소 홍보 등에서 나아가 더욱 적극적인 지원책을 행정이 고민해야할 때라는 지적이다.
3일 전주시에 따르면 현재 전주지역에서는 착한가격업소로 47곳이 지정돼 운영 중이다.
착한가격업소는 지역의 평균가격 이하의 품목이 있고 위생·청결 수준이 높은 업소가 대상이며, 가격‧위생청결도‧종사자 친절도‧공공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지정하는데, 지원은 지자체 조례에서 정하는 내용을 근거로 하고 있다.
주로 상‧하수도 요금 감면 등 세제 혜택과 쓰레기봉투·주방세제·고무장갑 등 각종 필요한 물품이 제공된다.
착한가격업소 제도는 행안부와 지자체가 함께 지난 2011년부터 운영해왔다. 전주시 또한 해마다 현지 실사를 통해 평가한 결과를 바탕으로 전북도·행안부와 협의해 착한가격업소를 발굴·지정 중이다.
전주시의 경우 조례에 따른 지원 사항으로 '착한가격업소' 지정 이름표와 옥외가격표지판 설치, 쓰레기 봉투, 상·하수도료 등 공공요금 보조, 소모품 지원 등을 규정하고 있다. 예산은 업소당 연간 90만원 상당이다.
다른 지자체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지자체별 '착한가격업소 지원 및 관리에 관한 조례'를 보면 종량제쓰레기 봉투, 소모품 지원 등 예산 범위내 물품 지원 혜택을 제공한다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이 같은 상황에서 착한가격업소를 운영하고 있는 일부 업주들은 "가게 운영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려면 월세에 보태는 등 지원금을 자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었으면 좋겠다"며 "또 지자체에서 착한가격업소라고 현판을 달아 홍보를 해주는 것도 좋은데, 좀 더 효과가 있는 온라인 매체를 통해 확실하게 알리는 방법도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착한가격업소도 업종이 음식업, 미용업, 세탁업 등 다양하기 때문에 보조가 필요한 물품도 다양하다"며 "간혹 현금성 지원을 이야기하는 분들도 있었는데, 올해부터 국비 지원이 되면서 규정상 현금 지급은 불가능한 상황이어서 사전에 업소별로 필요한 물품을 수요조사한 후 지원해드리고 있다"고 말했다.
또 시 관계자는 "내년도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맞춰 시내 착한가격업소 47곳 전체를 대상으로 '착한 가격 메뉴' 간판을 새로 달아줄 계획"이라며 "업소 홍보와 관련해서는 시 홈페이지와 착한가격업소 홈페이지(goodprice.go.kr)가 운영되고 있는데, 다양한 매체 활용 방안도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