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보도자료

정부예산 감축 기조 속 전주시 국가예산 2조원 시대 열어

시, 내년도 국가 예산으로 올해(1조 9055억 원)보다 1962억 원 늘어난 2조 1017억 확보
문화·관광 1460억, 경제·산업 8214억, 광역·도시 3849억, 복지·사회안전망 7494억 성과
국립후백제역사문화센터 등 의미 있는 신규사업 대거 확보로 현안사업 추진 탄력 기대
여·야 지도부, 예결위원장, 전북 예결소위 의원, 지역구 의원 등과 공조체계 구축 성과

image
김인태 전주시 부시장(사진 좌측에서 두번째)가 내년 국가예산 확보관련 설명을 하고 있다./사진제공=전주시

정부 예산 감축 기조 속 전주시가 내년 각종 신규사업예산을 확보하면서 국가 예산 2조 원 시대를 열게 됐다.

특히 시는 왕의궁원 프로젝트 핵심사업인 국립후백제역사문화센터 등 의미 있는 신규사업 예산을 대거 확보하면서 전주가 글로벌 역사문화 관광도시, 미래 신산업을 선도하는 강한 경제도시의 초석을 다지게 됐다고 기대하고 있다.

시는  27일 오전 시청 2층 브리핑 룸에서 국가예산 확보와 관련한 설명회를 갖고 "내년도 국가 예산으로 2조 1017억 원을 확보했으며, 이는 올해 1조 9055억 원보다 1962억 원(10.3%) 늘어난 역대 최대규모 증가액" 이라고 밝혔다.

올해 1조9055억원은 2022년 1조7287억원보다 10% 늘어난 액수였다. 이번 예산 확보로 시는 민선8기 출범 이후 2년 연속으로 10% 이상 증가한 예산을 확보한 것 뿐 아니라, 국가 예산 규모도 사상 처음으로 2조 원을 넘어서게 됐다.

이날 김인태 부시장은 "각종 정부 예산안 감축 악조건 속에서도 지역 국회의원과 기획재정부 출신 우범기 시장님의 갖은 노력으로 당초 우려와 달리 기대이상의 성과를 냈다"고 설명했다.

실제 지난해부터 변화된 정부의 건전재정에 따른 △증액 및 신규사업 억제 △부처예산(안) 재검토 등 악조건과 더불어, 여야의 첨예한 정치적 대치로 인해 국회의 예산안 합의가 지연되는 등 예년보다 불리한 여건 속에서 이뤄낸 성과여서 의미가 크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이 과정에서 시는 서삼석 예결위원장,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위원장, 전북 예결소위 의원인 이원택·이용호 의원, 등과 함께 대응전략을 마련하고 막판 총력전을 펼친 결과 국회 막바지 단계에서 시 현안관련 총 11개 사업 1252억 원을 증액 확보했다.

국가예산 확보 분야별로는 △문화·관광 분야 1460억 원 △경제·산업 분야 8214억 원 △광역·도시 분야 3849억 원 △복지·사회안전망 분야 7494억 원이다.

구체적으로 국회 단계 마지막까지 반영 여부가 확실치 않았던 왕의궁원 프로젝트의 핵심사업인 국립후백제역사문화센터 건립을 위한 2억 원의 용역 예산을 확보해 왕의궁원 프로젝트 추진의 단초가 마련됐다.

이와함께 △K-한지마을 조성(1억 원) △국제한지산업대전(3억 원) △한국형 영화 효과음원 사운드댐(3억 원) 등의 신규 예산이 뒤늦게 확보돼 한지산업 및 영화·영상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됐다.

또 △드론기업의 기술개발-제품생산-인증까지 가능한 원루프 드론 인프라를 구축해 기술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드론기업 육성을 위한 ‘드론핵심기술개발 全주기 인프라 구축사업’(30억 원) △탄소산업과 고부가가치 의료기기산업을 연계한 ‘생체적합성 탄소소재 의료기기 개발’(9.3억 원) △현장 수요 맞춤형 생산·규제과학·바이오헬스 전문인재 양성기반을 구축하는 ‘메카노바이오헬스 혁신의료기기 전문인력 양성센터 구축(7억 원) 등의 신규 예산은 전주 미래 신산업의 성장·발전을 견인하게 됐다.

이들 신규 사업들의 경우 사업 첫해인 내년도 국비 확보액은 764억 원에 불과하지만 연차적으로 총 8217억 원(국비 5356억 원 규모)이 투입되는 시드머니(Seed Money)여서 전주가 100만 광역도시, 강한경제 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든든한 기초가 될 것이라는 것이 시의 기대다.

김인태 부시장은 “올해 전주시는 미래 100년의 원대한 밑그림을 토대로 대변혁의 골격을 다지기 위해 전북도, 지역 정치권과 일심동체로 국가예산 확보를 위해 혼신의 힘을 쏟아부었다”면서 “확보한 국가예산이 시민의 삶 곳곳에 스며들어 역동적이고 활기 넘치는 전주경제 대변혁을 실현하고 우일신하는 전주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백세종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사건·사고경찰, ‘전 주지 횡령 의혹’ 금산사 압수수색

정치일반‘이춘석 빈 자리’ 민주당 익산갑 위원장 누가 될까

경제일반"전북 농수축산물 다 모였다"… 도농 상생 한마당 '신토불이 대잔치' 개막

완주‘10만490명’ 완주군, 정읍시 인구 바짝 추격

익산정헌율 익산시장 “시민의 행복이 도시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