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지역의 한 경찰관이 작고한 어머니를 애타게 그리워하는 수필집을 제삿날에 맞춰 펴냈다.
주인공은 마산 동부경찰서 합성지구대장 하진형(45) 경감.
남해군 출신인 하 경감이 펴낸 수필집 '하얀 어머니'는 모두 279쪽으로 제1부 '어머니와 대서(大暑) 여행'과 제2부 '어머니와 나', 어머니 전상서 등으로 이뤄졌다.
어머니와 대서 여행에서는 2003년 6월 말과 7월 노모가 병원에 노환으로 입원, 임종할 때까지 어머니를 곁에서 간호하면서 모자간 나눈 정겨운 대화와 꺼져가는 생명의 안타까움, 아들의 애틋한 사랑 등이 잔잔히 배여 있다.
'하얀 어머니'는 화장(火葬)을 싫어하는 어머니가 화장을 하면 자식에게 해가 없고 장사법(2001년)이 발효, 강화된 후 매장제한 요건 등으로 경찰관인 아들이 법을 어길까 봐 걱정해 화장을 허락, 화장 막을 통해 나온 하얀 알 뼈를 보고 붙였다고 하 경감은 설명했다.
또 어머니와 나에는 어머니가 생전에 7남매의 막내인 하 경감과의 갖가지 추억담을 담고 있다.
어머니가 해준 광어미역국을 먹다 목에 뼈가 걸려 혼이 났던 어린 시절, 초등학교 졸업식 때 다른 친구의 어머니에 비해 나이가 많은 할머니 같은 어머니가 학교에와 부끄러웠다는 철 몰랐던 시절, 공군 복무때 어머니가 아들에게 보낸 철자법 틀린편지, 어머니가 용감하게(?) 놀이 기구 바이킹을 타던 모습, 어머니의 엄하면서도 자애로운 모습과 걸음걸이까지 자세히 묘사돼 있다. '어머니 편히 쉬고 계세요'로 시작하는 어머니 전상서는 하늘나라에 계신 모친의 영전에 바치는 편지로 '영원히 살아 계신 당신은 이 세상에서 가장 큰 우산이 돼세상의 모든 어려움으로 부터 저를 지켜주고 계십니다. 가슴 속에 계신 당신은 나의영원한 버팀목입니다'라며 구구절절하게 어머니를 그리는 애정이 가득차 있다.
하 경감은 "1986년 순경 발령 통지를 받은 6월 초순 '사람이 살아가면서 남을 속여 조금 이득을 취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비오는 날 오래 걷다보면 우산을 쓰고 가도 옷이 젖듯이 결국 몸을 해치니 항상 사람은 바로 살아야 한다'는 어머니의 투박한 사투리를 기억, 실천하면서 살아가고 있다"며 "끝없는 어머니에 대한 사모의정을 돌아가신 후 비로소 느껴 3년간 틈틈이 준비해 이달 초순 기일에 맞춰 출간했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