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전략산업 연계 자동차·탄소 등 집중 육성 / 기능별 코디네이터 역할로 성장 동력 극대화
한국산업단지공단 전북권본부(본부장 백웅호)가 세계 시장 발판 도약은 물론 미래사업 개발을 꿈꾸는 희망의 기업을 지원하는 든든한 ‘보호막’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2005년 국가균형발전정책의 일환으로 산업단지 클러스터사업을 추진, 군산국가산업단지가 시범단지로 선정됐다.
군산은 총 단지면적 2030만㎡(613만평)으로서 1단계로 1988년~1994년 동안 제1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하였고, 1990년~2006년 동안 제2국가산업단지를 조성했다.
군산1국가산업단지(군산 소룡동 일원)와 군산2국가산업단지(군산 소룡동, 오식도동, 비응도동 일원) 내 입주 기업이 연간 9조4000억 원의 수익을 올렸고, 군산1·군산2산단에 입주한 기업은 모두 570개로 이들의 연간 생산 단가는 9억4000억, 수출금액은 41억불, 고용은 1만8000명에 이르는 등 명실 공히 전북 경제의 큰 축을 차지하고 있다.
이곳 국가산단의 주력 육성산업은 전북도 전략산업과 연계해 자동차·기계 그리고 조선, 탄소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이들 산업을 중심으로 기업 중심 클러스터가 구성돼 활발한 활동을 전개, 전북은 물론 국가경제발전의 단단한 버팀목이 되고 있다.
한국산업단지공단 전북권본부는 기존의 시설과 자본투자에 중심을 두던 하드웨어적인 방식을 살리면서 소프트웨어적인 산업정책을 더한 성장과 발전을 도모, 자동차 등 특정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이를 통해 산업단지의 혁신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것이 바로 한국산업단지공단이 주도하고 있는 산업집적지경쟁력강화사업으로 기업들은 네트워크화 되어 있는 지원기관들을 활용하여 기업경영에 필요한 공급자·기업지원서비스 노동력 등 투입요소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 기업경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장점을 살려 기업을 성장시킬 수 있다.
특히 관이 아닌 민간주도의 개방형 클러스터를 추진, 네트워크 활동이나 과제 발굴 등의 활동을 민간이 주도적으로 주도하고, 전북권본부는 이를 지원하기 위해 기술·경영·금융 등 기능별 코디네이터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새만금개발과 더불어 잠재된 성장 동력의 시너지를 극대화 시키고 있다.
현재 한국산업단지공단 전북권본부는 한국GM·현대중공업·타타상용차·두산인프라코어 등 대기업을 포함한 중소기업들과 함께 자동차·기계조선·그린부품·농공단지·자유무역지역을 중심으로 5개 미니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등 대기업과 중견, 중소기업의 협업을 연계하는 ‘가디언’으로 평가받고 있다.
백웅호 한국산업단지공단 전북권본부장은 “우리 공단은 기업들이 뿌리를 내려 크고 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양질의 토지와 같은 존재”라며 “국가산단 내 기업들의 발전과 성장은 곧 한국산업단지공단이 존재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백 본부장은 이어 “우리 공단은 앞으로도 국가산단을 사람과 기술, 산업과 문화가 융합 발전하는 혁신의 장소로 만들어 창조경제의 거점이 되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며 “삶의 질이 보장되는 쾌적하고 안전한 행복산업단지를 만들어 세계가 주목하는 산업단지를 만들어 입주기업과 국가경제가 같이 비상할 수 있는 성공의 날개가 되겠다”고 덧붙였다.〈끝〉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