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실서 전북일보·소충사선문화제전위 등 주최
‘독립운동 배경과 3·15 만세운동 학술강연’ 열려
전북일보와 (사)소충사선문화제전위 등이 공동으로 주최한 ‘독립운동의 배경과 3·15 만세운동 문화행사 및 학술강연회’가 15일 임실에서 열렸다.
임실문화원 대강당에서 열린 이날 학술강연회에는 전북일보 윤석정 사장과 광복회 이강한 전북지부장, (사)박준승기념사업회 홍봉성 이사장 등 주민 200여명도 참석했다.
이에 앞서 이날 3·15 만세운동 근거지인 청웅면사무소에서는 박진두 부군수와 문영두 의장 등 주민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기념행사도 펼쳐졌다.
특히 이날 학술강연회에는 정세균 국회의장과 이낙연 국무총리, 박유철 광복회장 등도 축전을 보내 행사를 빛냈다.
전북일보 윤사장은 “3·1운동 당시 임실은 도내에서 만세운동이 가장 활발했던 고장”이라며“독립운동의 정신적 토대인 임실출신 박준승 선생의 업적과 정신을 오랫동안 계승하자”고 강조했다.
학술대회 주제발표에서는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이명화 연구위원의 ‘1919년 3·1운동의 배경과 호남 3·1운동의 전개와 성격’이 발표됐다.
발표에서 이위원은 또 3·1운동의 역사적 의의와 계승을 통해 한국민의 근대적 시대의식과 역사정신의 변화를 강조했다.
청암대학교 성주현 교수는 ‘전북지역 천도교와 3·1독립운동’을 통해 동학조직과 농민운동, 갑진개화운동 및 천도교의 조직 등이 상세히 설명됐다.
임실문화원 최성미 원장도 ‘임실의 3·1 독립만세운동’을 통해 지역별 만세운동을 설명하고 임실군 청웅면 출신 민족대표 33인인 박준승 선생을 비롯 독립운동가와 유공자, 유족 등을 소개했다.
한편 이날 토론에서는 전북일보 김원용 논설위원과 KBS전주방송총국 김명성 방송문화사업국장이 토론자로 참여해 3·1운동의 성격과 향후 대응전략에 따른 열띤 토론도 펼쳐졌다.
양영두 소충사선문화제전위원장은“3·1운동 100주년 기념을 1년 앞둔 시점에서 학술강연회 개최를 뜻깊게 생각한다”며“충효의 고장인 임실의 나라사랑 정신을 널리 알리고 계승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