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군의회, 명확한 입장 표명 요구
유 군수, 주민의견 수렴 원론적 입장 견지
유희태 완주군수는 민관위원회 구성을 통해 완주∙전주 통합 관련 입장을 정리하겠다고 밝혔다.
유 군수는 10일 열린 완주군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완주∙전주 통합 관련 입장을 분명하게 밝히라는 의원들의 요구에 각계각층이 참여하는 민관위원회를 발족시키겠다고 밝혔다.
유 군수는 "민관위원회에 예산과 복지, 주민총생산 등 여러 지표를 객관적으로 제공할 경우 어떤 선택이 완주군을 위한 것인지 주민들이 잘 선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 군수는 또 현재 진행되고 있는 완주∙전주 통합 논의가 지난 3차례의 통합 논의 때와 마찬가지로 정치적으로 흘러 주민 갈등만 일으킬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하고, 완주∙전주 통합은 경제적 측면과 주민 삶의 질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다. 객관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찬성이든 반대든 어떤 결론이 나오더라도 축제로 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5일 완주∙전주 통합 반대 결의문을 채택했던 완주군의회 의원들은 이 같은 유 군수의 입장에도 통합 반대 입장을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압박 수위를 높였다.
유이수 의원은 “완주군은 지속적이고 독자적인 성장과 발전이 충분한 동력을 가지고 있다”며 “통합 논의는 역사적 문화적 동질성에 기초한 통합보다 경제적 효과와 발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심부건 의원은 “완주·전주 통합은 전적으로 완주군민의 뜻에 달려 있다”며, “군사작전 하듯 급박하게 추진할 것이 아니라 원점에서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성중기 의원은 “현 상황에서 완주-전주 행정구역 통합 논의보다는 인구 10만명이 다가오는 완주군의 미래 성장동력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를 우선 고민해야 한다”며 "앞서 지난 95년 이후 무려 세 차례나 추진된 시·군통합 무산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의식 의원은 “군민과 충분한 논의와 공론화를 거치는 과정이 없는 행정구역 통합은 지역 주민들을 분열과 갈등의 소용돌이로 몰아넣고 지역발전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최광호 의원은 “지난 4월 전주KBS·전북일보가 실시한 완주·전주 통합 여론조사 결과 완주군민들이 여전히 반대(55%)하는 입장이 우세한 지표”라며, “(군민 뜻이 이미 드러난 상황임에도) 군수가 너무 안이하고 낭만적으로 생각하는 것 아니냐”고 추궁했다.
김규성 의원은 “통합을 위해선 복잡한 행정절차가 선행돼야 하고, 통합 이후에도 사회적 비용과 과도한 행정력 낭비 등이 수반될 것”이라며 “선출직은 주민의 목소리를 내야 하며, 이제는 명확한 입장을 밝혀야 하는 것 아니냐”고 따졌다.
이순덕 의원은 “군민을 뒤로하고 행정통합을 밀어붙이려 하거나 분위기를 몰아가는 일은 없었으면 한다”며, ‘통합은 축제가 되어야 한다’는 발언은 적절한 발언이 아니라고 지적하고 “용어 사용을 적절히 해달라”고 주문했다.
김재천 위원은 섣부른 행정구역 통합 논란에 대해 “완주·전주 통합은 두 지역 간 상생과 화합을 위한 많은 노력과 설득을 해야 하고, 두 지역 주민이 동의해야만 성사가 가능한 일”며 “대다수의 완주군민이 반대하고 있는 상황에서 완주·전주 통합에 대한 군수의 정확한 입장표명이 필요하다”고 압박했다.
이주갑 행정사무감사특위 위원장은 “완주군은 탄탄한 재정력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해 나가고 있으며, 수소특화국가산단 등 인구 10만, 전북 4대 도시로 독자적 성장잠재력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 현재 완주-전주 통합은 사실상 완주군에 실익이 없다”고 주장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