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장수 레드푸드 페스티벌' 불법 야시장으로 이미지 먹칠

노점상 장소 물색, 점유, 관리에 수천만원 금전 오가
조직폭력배 연계설에 공무원 불법 행위 단속 소극적
군, 불법 야시장 합법화 추진...일괄 관리 감독

올해 새롭게 명칭을 바꾸고 출범 원년을 맞은 ‘장수 레드푸드 페스티벌’ 축제가 불법 야시장에 의해 축제의 의미가 퇴색됐다는 여론이 분분하다.

장수군은 ‘레드푸드 페스티벌’을 한우와 사과를 비롯한 오미자, 토마토 등 다양한 농·축산물과 아울러 음식, 음료, 주류에 이르는 음식문화 분야로 확장해 ‘세계 최고의 먹거리 축제’로 발돋움하는 원년으로 삼았다.

그러나 불법 노점상으로 인해 합법적으로 운영하는 지역 상인에게 피해가 고스란히 전가되고 애써 만들어 놓은 축제 이미지에 먹칠을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의암공원 초입 축제장으로 들어가는 길목에 불법으로 설치된 30여 동의 야시장에서 늦은 밤까지 소음에 가까운 음악과 노랫소리, 외설스런 각설이 공연, 일부 노점의 시중보다 높은 바가지요금이 관광객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특히 올해 또 다른 노점상 무리가 축제장 동쪽 외곽지역에 15여 동의 불법 가설시설물을 설치하고 영업허가와 위생검열도 받지 않은 채 버젓이 야시장 상행위를 벌이며 축제 품격을 떨어뜨리고 있다.

군민을 위한 축제가 불법과 탈법으로 노점상들의 배만 불려주고 있는 그 뒷면에는 노점상들에게 장소를 물색하고 점유, 관리해 주는 주체에 수천만 원의 금전이 오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난해 두 노점상이 자리다툼을 벌였던 사실도 공공연히 돌고 있다.

이런 구조상 자릿세 이상 수익을 창출해야 하는 상인들은 바가지요금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들은 야음을 틈타 불법 가설물을 설치하고 철거 계고장을 받고도 배짱 영업을 이어간다.

이런 상황이 매년 반복되는 이유는 불법 가설물이라 해도 강제 철거 등 계고장 발부 후 일정 기간이 지나기까지 이렇다 할 제재를 가하지 못하는 법의 맹점 탓에 그들은 축제가 끝나고 두둑한 이득을 챙긴 채 유유히 사라진다.

또 단속 공무원이 조직폭력배 연계설까지 나오는 불법 노점상과 갈등이 두려워 불법 행위 단속에 소극적인 것도 한 몫을 차지한다.

이에 경찰력과 합동으로 불법 점유를 미연에 방지하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대두되는 이유다.

현재 군은 의암공원 내 불법 야시장에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제24조에 의거 불법 가설물 철거를 명령하는 2차 계고장을 발부했다.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제24조에 의거 도시공원을 관리하는 군수의 점용허가를 받지 아니한 자는 제53조,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는 법령에 따른 것이다.

또 장수읍 두산리 911번지 농지(농업진흥지역)와 인접 도로부지를 점유해 불법 가설시설물을 설치하고 영업하는 야시장도 ‘농지법’ 위반으로 고발 조치한다는 방침이다.

‘농지법’ 제58조에 의하면 농업진흥지역의 농지를 제34조 제1항에 따른 농지전용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전용하거나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농지전용허가를 받은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해당 토지의 개별공시지가에 따른 토지가액에 해당하는 금액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명시돼 있다.

또한 농지를 임대한 농민도 처벌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농지법 제61조에 소유 농지를 임대하거나 무상 사용하게 한 자는 2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적시돼 있다.

행정이 축제장 불법 노점을 방치하게 되면 결국 피해는 고스란히 장수군민과 허가를 받고 정상 영업하고 있는 상인들에게 돌아간다.

일부 주민들은 노점상이 축제장에 없는 부분을 보완하고 축제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의견도 있지만 불법을 용인해서는 않된다는 의견에 더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이에 장수군은 이참에 야시장 설치를 합법화한다는 방침이다.

기존 의암공원 내 야시장(노점상) 구역을 축제장 일시 점용 구역으로 허가하고 공개입찰을 통해 입점 업체를 모집, 영업 신고와 위생검열, 바가지요금 근절 등을 일괄 관리 감독한다는 계획이다.

따라서 장수군이 새롭게 명칭을 바꾸고 ‘세계 최고의 먹거리 축제’로 발돋움하려는 ‘레드푸드 페스티벌’이 불법 야시장에 발목이 잡힐지 이후 행보에 귀추가 주목된다.

 

이재진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전주‘전주 실외 인라인롤러경기장’ 시설 개선…60억 투입

영화·연극제27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영화 출품 공모 시작

김제김제시 종자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 ‘파란불’

금융·증권미 증시 덮친 'AI 거품' 공포…한국·일본 증시에도 옮겨붙어

문화일반세대와 기록이 잇는 마을…부안 상서면 ‘우덕문화축제’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