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완주군, 수해 복구비 780억 원 확보

국비 592억원, 전체 복구비의 76% 차지

완주군(군수 박성일)이 780억 원 규모의 수해복구비를 확보, 향후 복구사업이 탄력을 받게 됐다.

23일 완주군에 따르면 이번에 확정된 복구비는 기능복구 사업비(193억 원)와 개선복구 사업비(588억 원) 등 모두 781억 원으로, 공공시설 복구비 771억6000만 원에 사유시설 복구비 9억3700만 원이다. 완주지역 피해액 대비 7배 이상 되는 복구비를 대거 투입할 수 있게 된 셈이다.

완주군은 지난 7월 말부터 8월 중순까지 내린 집중호우로 102억6000만 원의 피해가 발생,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됐으며 중앙재난피해 합동조사단 조사 결과를 토대로 지난주에 복구 계획이 확정됐다.

이번에 확정된 수해복구비 중에서 국비와 도비는 각각 총 592억2800만 원과 61억8300만 원으로, 전체 복구비의 85%가량을 외부재원으로 충당해 지역 피해시설에 대한 집중복구에 나설 수 있게 됐다.

완주군이 수해에서 사상 최대 규모의 외부재원을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은 수해로 고통 받는 지역주민을 위해 신속하고 정확한 ‘피해조사 TF팀’을 구성하고, 지휘부부터 실무진까지 복구비 확보에 나섰기 때문이다.

실제로 박 군수는 집중호우 기간에만 화산면 성북천 등 피해 현장을 20여 차례나 방문하고 긴급 대책회의를 개최하는 등 현장에서 주민들의 어려움을 경청하고 정치권과 함께 복구를 위한 대책을 세웠다.

또 합동조사단의 현장조사에서 완주지역 내 복구사업 필요성을 집요하게 설명하고 설득한 결과, 3건의 개선복구 사업비를 확보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제방유실 및 교량 파괴 등 피해가 컸던 소양면 소양천(지방하천)과 행단천(소하천), 상관면 수원천(지방하천) 등 3개 하천은 기능복원뿐만 아니라 항구적인 개선복구가 동시 진행될 수 있게 됐다.

박성일 군수는 “지난 8월에 수해복구 TF팀을 구성했고, 이미 확보한 특별안전교부세 2억 원을 활용해 실시설계 용역을 착수했다.”며 “주민들이 같은 아픔을 겪지 않도록 복구에 필요한 예산을 조속히 확보 하겠다”고 말했다.

김재호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외교 ‘강행군’ 여파 속 일정 불참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전주시 6시간 28분 49초로 종합우승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통산 3번째 종합우승 전주시…“내년도 좋은 성적으로 보답”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종합우승 전주시와 준우승 군산시 역대 최고의 박빙 승부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최우수 지도자상 김미숙, “팀워크의 힘으로 일군 2연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