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국가예산 2주 대작전
완주군이 다음달 2일 예정된 ‘2023년도 국가예산’ 의결을 앞두고 주요 사업의 삭감 방지와 막판 추가증액을 위한 ‘2주 대작전’에 들어갔다.
22일 완주군은 주요 사업의 추가증액을 위해서는 막판 2주 활동이 중요하다고 보고 ‘대용량·고출력 무정전 전원장치(UPS) 위험성평가 및 안전기술 개발 사업’과 ‘수소상용차와 연료전지산업 고도화를 위한 지역 간 기술협력 플랫폼 구축’ 등 신규 사업 반영에 주력하고 있다.
완주군은 UPS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위험성 분석과 안전제어 기술 평가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이서면에 본사를 둔 한국전기안전공사와 함께 ‘대용량·고출력 UPS 사고대응 시스템 평가센터’ 유치에 적극 나선 상태이다.
완주군은 사업추진의 긴박성을 고려해 내년도 총사업비 300억 원 중에서 국비 20억 원을 반영해 줄 것을 건의하고 있다.
군은 우선 당장 내년도 사업비를 반영해줄 경우 중소기업 기술지원을 통한 수출경쟁력 강화, UPS 운영 리스크와 경제·사회적 피해 최소화 등 다양한 효과를 거둘 수 것이란 입장이다.
완주군은 또 정부의 친환경차 패러다임 정책 전환에 맞춰 ‘수소상용차와 연료전지산업 고도화를 위한 지역 간 기술협력 플랫폼 구축’이 중요하다고 보고 내년도 장비구축과 기술개발을 위한 국비 58억 원 반영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완주군과 충남 예산군이 공동으로 뛰고 있는 이 사업은 정부 예산안에 10억 원이 반영됐고, 국회 상임위 심의 단계에서 48억 원이 증액된 만큼 최종 본회의 예산의결까지 사수하는 일이 시급한 과제로 등장했다.
국회 예결위는 지난 17일부터 예산소위를 가동하고 막판 점검에 들어갔으며, 오는 30일에 전체회의에서 의결한 후 처리 법정시한인 12월 2일에 본회의에서 내년도 정부 예산안을 의결 처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희태 완주군수는 “‘모두가 누리는 미래행복도시 완주’를 실현하기 위해선 지역현안의 탄력적 추진을 위한 국가예산 확보가 필요충분조건”이라며 “국회 심의 마지막 날까지 사력을 다해 최고의 실적을 올릴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완주군은 지난 2018년에 국가예산 3215억 원을 확보하며 3000억 원 시대를 연 데 이어 2020년 4165억 원, 2022년 5067억 원 등 성과를 거뒀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