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세 번째 남북정상회담이 열리던 화창한 날, 도민들은 학교, 직장, 거리에서 그 역사적인 순간을 지켜봤다. 모두는 국민을 대신해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만난 문재인 대통령과 한마음을 느꼈다. 고조된 전쟁 분위기 속에서 이제서야 환희와 희망을 품은 도민들의 목소리를 들어봤다.
 
     △ 평화통일 교육센터 강사 문한솔 씨(23)
아침부터 설레는 마음으로 텔레비전을 보고 있었다는 문한솔 씨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함께 손을 맞잡고 군사분계선을 넘어갈 때 왈칵 눈물이 쏟아졌다”고 말했다.
문 씨는 올해 초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발표한 신년사를 대학생들과 함께 분석하는 스터디도 운영했었다.
지금 되돌아보니 그 말대로 제대로 흘러가고 있다는 것을 느꼈다고 한다.
평화통일 교육센터 강사이기도 한 문 씨는 “학교에서 평화통일에 대해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의를 진행하는데 이제는 강의 교안도 모두 바꿔야겠다”며 웃었다.
 
     △ 회사원 이민재 씨(34)
직장인 이민재 씨(34)는 “2000년 중학생일 때 김대중-김정일 정상회담을 봤다”며 “당시 국어 시간이었는데, 선생님이 ‘공부보다 중요하다’며 생중계를 보여준 경험이 있다”고 말했다. 그때의 감동을 다시 느꼈다는 이 씨는 “이번 회담에서 결실을 본 종전 선언은 남북이 평화로 가는 중요한 메시지”라고 평가했다.
 
     △ 주부 정혜영 씨(48)
주부 정혜영 씨(48)는 “남북 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 손을 잡고 함께 직접 북한 땅을 밟았다가 다시 돌아온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모습이 인상적이었다”면서 “북한 땅을 밟는 게 ‘저렇게 쉬운 거였나’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두 아들을 둔 정 씨는 “아이들이 통일에 관심이 없는데, 이를 계기로 통일의 중요성을 깨달았으면 한다”고 했다.
 
     △ ‘붕어빵 아저씨’ 김남수 씨(62)
익산에서 붕어빵을 팔고 난 수익을 꾸준히 기부해 온 김남수 씨(62)는 “남북 정상회담을 지켜보면서 조만간 북한과 교류가 진행될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며 “가장 먼저 어렵게 사는 북한 어린이를 돕고 싶다”고 말했다. 지난 26일 오전 익산시청에 100만 원을 기부한 그는 “남북 정상회담의 성공적인 개최를 기원하며 기부에 나섰다”고 밝혔다.
 
     △ 슈퍼마켓 운영 박병수 씨(63)
전주시 덕진구 금암동에서 슈퍼마켓을 운영하는 박병수 씨(63)는 지난 27일 하루종일 점포 안에서 텔레비전에서 눈을 뗄 수 없었다고 말했다.
여느 시민들처럼 박 씨도 가장 인상 깊었던 장면으로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손을 맞잡는 그 순간을 꼽았다.
박 씨는 “손을 맞잡고 환하게 웃는 두 정상의 모습을 보니 눈물이 다 나더라”며 “그동안에는 남북통일이나 평화에 대해서 잘 느끼지 못하고 살았는데, 이번 남북 정상회담을 보니 마음속에서는 기대가 컸던 것 같다”고 말했다.
텔레비전을 보다 갑자기 눈물이 쏟아져 난처했다는 박 씨는 “앞으로는 남북, 한 민족 사이에 좋은 일들만 가득했으면 좋겠다”며 “예전처럼 잘못된 결정을 내리고, 잘못된 방향으로 나아가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남승현·천경석 기자>남승현·천경석>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